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日中爲市하야 致天下之民하고 聚天下之貨하야 交易而退하니 各得其所
時諸侯夙沙氏 行不用道하고 叛不用命이어늘 其臣箕文 諫而被殺이라
神農益修厥德하니 夙沙之民 自攻其君而來歸其地
當是時하야 禮草昧而未制하고 樂堙塞而未作이라 燔黍爲飱하고 捭豚爲俎하며 玄酒大羹으로 汙尊抔飮이라
蕢桴土鼓하고 截葦爲籥하며 繩絲削桐爲五絃之琴하야 詠豐年之歌하야 以通神明之德하고 合天人之和
法省而不煩하고 威厲而不殺하며 俗樸而不爭하고 不令而人化
南至交阯하며 北至幽都하며 東至暘谷하며 西至三危 莫不服從이라
在位百有四十年이라


1-2-2 한낮이 되면 시장을 열어서 천하의 백성들을 모이게 하고 천하의 재화를 모아서 교역交易하여 돌아가게 하니, 각각 만족하게 살았다.
이때 라는 제후가 일을 행할 때에 를 따르지 않고 반기를 들어서 명령을 따르지 않거늘 그 신하 기문箕文간언諫言하였다가 피살되었다.
이에 신농씨가 그 덕을 더욱 닦으니 숙사씨의 백성들이 스스로 자기 임금을 공격하고 그 땅을 바치며 귀의하였다.
이때에는 가 초창기라서 제정되지 않았고, 이 막혀 있어 시작되지 않았다. 을 쓰고 에 손으로 움켜서 마셨다.
를 치고 갈대를 잘라서 피리를 만들며, 실을 꼬고 오동나무를 깎아서 이 다섯 개인 을 만들어 풍년가豐年歌를 불러서 신명神明과 교통하고 하늘과 사람이 조화되게 하였다.
을 간략하게 만들어 번거롭지 않게 하고, 위엄威嚴은 있되 죽이지 않으며, 풍속은 질박하여 다투지 않고,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사람들이 교화되었다.
그리하여 남쪽으로는 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에 이르기까지 복종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재위 기간은 140년이었다.


역주
역주1 夙沙氏 : 신농씨 때에 바닷물을 끓여서 소금을 만든 사람으로, 신농씨의 신하이다.(≪類說≫ 권35 〈爾雅〉)
역주2 기장[黍]을……삼고 : 솥이 없던 시기이기 때문에 돌판을 달궈서 그 위에 기장을 올려서 익혔다는 뜻이다.(≪禮記集說大全≫ 권9 〈禮運〉)
역주3 돼지고기를……삼았으며 : 솥이 없던 시기이기 때문에 돌판을 달궈서 그 위에 돼지고기를 크게 쪼개서 올려 익혀서 祭需로 썼다는 뜻이다.(≪禮記集說大全≫ 권9 〈禮運〉)
역주4 玄酒 : 물을 가리킨다. 太古 때에는 술이 없었기 때문에 술 대신 물을 사용하여 禮를 행하였다. 후세에는 술이 있었지만 제사를 지낼 때에 태곳적의 예를 존중하여 물을 玄酒라고 하여 제사에서 중시하였다.(≪禮記集說大全≫ 권9 〈禮運〉)
역주5 大羹 : 太古 때의 국[羹]이다. 소금이나 양념을 넣지 않고 순수하게 고기에 물만 붓고 끓인 것이다. 태고의 예를 존중하여 후대에도 제사 때에 중시하였다.(≪禮記集說大全≫ 권10 〈禮器〉)
역주6 汙尊 : 음을 ‘와준’으로 읽는다. 太古 때에는 그릇이 없기 때문에 땅에 구덩이를 파서 물을 담았는데, 이것을 와준이라고 한다.(≪禮記集說大全≫ 권9 〈禮運〉)
역주7 蕢桴 : 태고 때에 흙을 이겨서 만든 土鼓를 치는 북채이다.(≪禮記集說大全≫ 권9 〈禮運〉)
역주8 土鼓 : 태고 때에 흙을 다져서 북통을 만들고 양쪽에 가죽을 대서 만든 북이다.(≪禮記集說大全≫ 권9 〈禮運〉)
역주9 交阯 : 交趾라고도 한다. 고대의 지명인데 일반적으로 五嶺 이남을 가리킨다. 漢 武帝 때 설치한 13刺史部 중 하나로 지금의 廣東과 廣西 대부분과 越南의 北部와 東部가 이곳에 해당된다. 東漢 末에 交州로 이름을 바꾸었다.
역주10 幽都 : 중국의 북방 지역인데, 高誘의 설에 의하면 雁門 이북이라고 하고, 顏師古의 설에 의하면 북방의 匈奴 지역이라고 한다.
역주11 暘谷 : 고대의 지명인데, ≪書經≫ 〈虞書 堯典〉에는 嵎夷가 사는 지역이라고 하였다. 嵎夷는 현재의 山東 지역에 해당한다.
역주12 三危 : 삼위에 대한 설은 일정하지 않다. 일설에는 甘肅省 敦煌에 있는 三危山이 옛날의 三危라고 하고, 다른 설에는 甘肅省 岷山의 서남쪽이라고 하고, 또 일설에는 雲南 지역이라고도 한다.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