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克明俊德하야 以親九族한대 九族旣睦이어늘 平章百姓한대 百姓昭明하며 協和萬邦한대 黎民 於變時雍하니라
乃命羲和하야 欽若昊天하야 曆象日月星辰하야 敬授人時하다
分命羲仲하야 宅嵎夷하니 曰暘谷이니 寅賓出日하야 平秩東作이니 日中이요 星鳥 以殷仲春이면 厥民이요 鳥獸 孶尾니라
申命羲叔하야 宅南交하시니 平秩南訛하야 敬致 日永이요 星火 以正仲夏 厥民이요 鳥獸 希革이니라
分命和仲하야 宅西하시니 曰昧谷이니 寅餞納日하야 平秩西成이니 宵中이요 星虛 以殷仲秋 厥民 鳥獸 毛毨이니라
申命和叔하야 宅朔方하시니 曰幽都 平在朔易이니 日短이요 星昴 以正仲冬이면 厥民 鳥獸 氄毛니라
帝曰 咨汝羲曁和 三百有六旬有六日이니 以閏月이라사 定四時成歲하야 允釐百工하야 庶績咸煕하리라
命后夔하사 作大章之樂하고 堯曰 樂者 天地之精也 得失之節也
夔能和之하야 以平天下하니 一而足矣니라


2-4-2 능히 큰 덕을 밝혀서 을 화친하게 하자 구족九族이 화목하게 되거늘 백성이 자신의 덕을 밝히며, 을 화목하게 하자 백성들이 아! 변하여 이에 화목하게 되었다.
命官授時圖命官授時圖
이어 에게 명하여 넓은 하늘의 운행하는 이치를 공경히 따라서 일월성신日月星辰의 운행을 달력으로 기록하고 관찰해서 농사짓는 시기를 공경히 가르쳐주게 하였다.
직책을 나누어 에게 명하여 춘분날 아침에 나오는 해를 공경히 맞이하여 봄에 해야 할 일을 고르게 순서를 정하니, 의 중앙인 중춘仲春이 되면 조수鳥獸는 새끼를 친다.
희숙羲叔에게 명하여 에 있게 하였다. 여름철에 변화해야 할 일을 고르게 순서를 정해서 공경히 해를 맞이할 것이니, 낮은 길고 정위正位중하仲夏가 되면 백성들은 더욱 흩어져 살고, 조수는 털이 드물어져 가죽이 바뀐다.
직책을 나누어 화중和仲에게 명하여 서쪽에 있게 하니, 그곳을 매곡昧谷이라고 한다. 공경히 들어가는 해를 전송하여 가을에 이루어야 할 일을 고르게 차례를 정하니, 밤의 길이는 중간이고 의 중앙인 중추仲秋가 되면 백성들은 화평하고, 조수鳥獸는 털이 윤기가 흐른다.
화숙和叔에게 명하여 북쪽에 있게 하니, 그곳은 유도幽都라고 한다. 바꾸어야 할 일을 고르게 살필 것이니, 낮의 길이는 짧고 정위正位중동仲冬이 되면 백성들은 따뜻한 곳으로 모여들고 조수鳥獸는 솜털이 난다.
제요帝堯가 말하기를, “아! 너희 희씨羲氏화씨和氏야, 해의 주기는 366일이니, 윤월閏月을 사용하여야 사시四時를 바르게 정해서 한 진실로 백관百官을 다스려서 모든 공적이 다 넓게 이루어질 것이다.” 하였다.
에게 명하여 이라는 음악을 지으라고 하고, 제요帝堯가 이르기를, “음악이란 천지天地정수精髓이고 득실得失절도節度이다.
가 능히 조화시켜 천하를 태평하게 하니 하였다.


역주
역주1 九族 : 高祖에서부터 玄孫까지의 친족을 가리키는데, 五服을 입는 異姓의 친척도 포함된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2 백성을……밝히니 : 백성이 스스로 덕을 밝히도록 교화시켰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백성은 畿內의 백성을 가리킨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3 萬邦 : 온 천하의 諸侯國을 가리킨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4 羲氏와 和氏 : 日月星辰의 운행을 달력으로 기록하고 관찰해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시기를 가르쳐주는 관원이다. 羲氏는 少昊氏의 아들 重의 후손이고, 和氏는 顓頊高陽氏의 손자라고 한다.(≪書傳≫ 〈虞書 堯典〉, ≪尙書注疏≫ 권18 〈呂刑〉, ≪御批歴代通鑑輯覽≫ 권1)
역주5 羲仲 : 羲仲과 羲叔, 和仲과 和叔에 대해서는 분명한 주석이 없다. 다만 채침의 경우에는 或者의 설을 인용하여 “혹자는 말하기를 ‘上文에서 명한 것은 羲伯과 和伯이고, 여기에서는 희중과 희숙, 화중과 화숙에게 나누어 명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옳은지는 알 수 없다.”라고 하여 자기의 견해를 제시하지 않았고, 宋나라 黃度는 “羲와 和의 屬官이다.”라고 하였는데 역시 근거는 없다.(≪書傳≫ 〈虞書 堯典〉, ≪尚書説≫ 권1)
역주6 嵎夷……한다 : 嵎夷는 중국의 동쪽 끝에 있는 지역이다. 暘은 해가 뜬다는 뜻이고, 谷은 골짜기라는 뜻이니, 暘谷은 해가 뜨는 골짜기라는 뜻이다. 羲仲이 소속된 본래 관청은 도성에 있는데 測候를 담당한 곳은 동쪽 끝에 있는 嵎夷 지역이고, 그곳이 해가 뜨는 밝은 곳이기 때문에 양곡이라고 한 것이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7 낮의……중간이고 : 고대에 하루의 시간을 100刻으로 나누었는데, 冬至는 낮이 40각 밤이 60각이고, 夏至는 낮이 60각 밤이 40각이고, 春分과 秋分은 밤낮의 길이가 각각 50각씩이기 때문에 중간이라고 한 것이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8 初昏에……鳥이다 : 春分日 초저녁에 남쪽 하늘 한가운데 뜨는 별이 鳥라는 말인데, 南中하는 별을 정확히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28宿 중 남방의 별에 해당하는 朱鳥七宿가 그 위치에 뜬다는 뜻으로 鳥라고 한 것이다. 夏至에 남중하는 별은 星火라고 하고, 秋分에 남중하는 별은 星虛라고 하고, 冬至에 남중하는 별은 星昴라고 한 것과 비교하면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朱子가 자세히 설명하였다. 주자의 설명에 의하면 初昏에 남중하는 별을 象으로 말하기도 하고, 12次의 자리[次]로 말하기도 하고, 星으로 말하기도 하는데, 초혼에 남중하는 별이 정확히 28수 중 하나의 별인 경우에는 星으로 말하니, 秋分에 星虛라고 하고 冬至에 星昴라고 한 경우이고, 남중하는 별이 28수 중에는 정확히 맞지 않고 12차에 정확히 맞는 것이 있을 경우에는 次로 말하니 하지에 星火라고 한 경우이고, 남중하는 위치가 28수와 12차에 정확히 맞지 않고 次와 次 사이에 해당할 경우에는 象으로 말하니 춘분에 星鳥라고 한 경우이다.(≪朱子大全≫ 권65 〈雜著 尙書〉)
역주9 백성들은……살고 : 추운 겨울에는 사람들이 집안에 모여서 지내다가 따뜻한 봄이 되면 밖으로 나가서 흩어져 지낸다는 뜻이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10 南交 : 중국의 남쪽 끝에 있는 지역이다.(≪書傳≫ 〈書傳圖 隨山濬川之圖〉)
역주11 南中하는……大火이다 : 하짓날 초저녁 남쪽 하늘 한가운데 뜨는 별이 大火라는 말인데, 大火는 12次 중 하나이고, 28宿에서는 氐, 房, 心에 해당하다.(≪書傳≫ 〈虞書 堯典〉, ≪漢書≫ 권21하 〈律曆志〉)
역주12 南中하는……虛宿이다 : 추분날 초저녁에 남쪽 하늘 한가운데 뜨는 별이 虛宿라는 말인데, 虛宿는 28宿 중에 北方七宿 중 네 번째 별이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13 남중하는……昴宿이다 : 동짓날 초저녁에 남쪽 하늘 한가운데 뜨는 별이 昴宿라는 말인데, 昴宿는 28宿 중에 西方七宿 중 네 번째 별이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14 해의……이루어 : 해의 1년 주기는 365일 940분의 235일인데, 366일이라고 한 것은 요임금 때에 1년을 366일로 인식했거나 어림수를 쓴 것으로 보인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太陰曆을 사용하였는데, 태음력은 해의 운행에 따라 변하는 계절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를 사용하여 보완하였다. 즉 태음력에 해의 운행을 접목한 太陰太陽曆을 사용한 것이다. 그런데 달의 1년 주기는 354일 940분의 348일이기 때문에 해의 주기와 10일 940분의 827일의 차이가 생긴다. 이 차이를 그대로 둘 경우 3년이 지나면 1개월의 차이가 생기고 약 8년이 지나면 3개월의 차이가 생겨서 달력과 계절이 완전히 맞지 않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윤달을 쓰는 것이다. 3년째, 5년째, 8년째, 11년째, 14년째, 17년째, 19년째에 각각 윤달을 넣어서 19년 동안에 7회 윤달을 넣으면 해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24절기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달력인 태음력이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윤달을 사용하여야 달력과 계절이 맞아 농사를 비롯한 모든 일이 바르게 이루어진다.(≪書傳≫ 〈虞書 堯典〉)
역주15 后夔 : 夔는 순임금 때 典樂을 담당했던 신하 이름인데, 歸의 제후에 봉해졌기 때문에 后夔라고 한 것이다.(≪路史≫ 권21 〈有虞氏〉)
역주16 大章 : 요임금 때 夔가 지은 음악 이름이다. 章은 드러난다는 뜻인데, 요임금의 덕이 드러난다는 의미이다.(≪古今律歷考≫ 권9 〈歴代1 歴代考 皇帝紀〉)
역주17 夔……충분하다 : 전해오는 소문에 夔가 외발[一足]이라는 말이 있어 魯나라 哀公이 孔子에게 사실인지 묻자, 공자가 순임금이 말한 ‘一而足’이라는 말은 한 사람이면 족하다는 말이지 외발이라는 말이 아니라고 답변하였다.(≪爾雅翼≫ 권18 〈夔〉)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