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8 故曰 去好去惡 臣乃見素 去智 臣乃自備라하니라
好惡不形이면 臣無所效 則戒而自備
○王念孫曰 去舊去智 本作去智去舊 惡素爲韻이요 舊備爲韻이라
이니 皆其證也 後人 讀舊爲巨救反하니 則與備字不協이라 故改爲去舊去智
不知古音智屬支部 備屬之部 兩部絶不相通이라 自唐以後 始溷爲一類 此非精於三代兩漢之音者 不能辨也


그러므로 말하기를 “군주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내색을 드러내지 않으면 신하는 바로 본심을 드러낼 것이고, 지혜와 기교를 버리면 신하는 이에 스스로 신중하게 처신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구주舊注:좋아하고 싫어하는 내색을 드러내지 않으면 신하가 본받을 바가 없으니, 조심하며 스스로 신중하게 처신한다.
왕염손王念孫:‘거구거지去舊去智’는 본래 ‘거지거구去智去舊’로 되어 있다. ‘’와 ‘’가 운자韻字가 되고, ‘’와 ‘’가 운자가 된다.
’는 예전에 ‘’와 같이 읽었으니, ≪시경詩經≫ 〈대아 탕편大雅 蕩篇〉 ‘은불용구殷不用舊(나라가 옛 신하를 쓰지 않았다.)’의 ‘’는 ‘’와 운자가 되고, 〈소민편召閔篇(소민편召旻篇)〉 ‘불상유구不尙有舊(옛 덕이 있는 사람이 있지 아니한가.)’의 ‘’는 ‘’와 운자가 되며,
관자管子≫ 〈목민편牧民篇〉 ‘불공조구不恭祖舊(옛 조상을 공손히 받들지 않는다.)’의 ‘’는 ‘’와 운자가 되니, 모두 그 증거이다. 후대 사람이 ‘’를 반절半切로 읽으니, ‘’자와 협운協韻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거구거지去舊去智’로 고친 것이다.
옛날의 음으로는 ‘’는 지부支部에 속하고, ‘’는 지부之部에 속해서, 이 두 가 전혀 상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 못한 것이다. 당대唐代 이후로 비로소 섞여버려서 하나의 유가 되었으니, 이것은 삼대三代양한兩漢의 음에 정통하지 못한 자라면 제대로 분별해내지 못한다.


역주
역주1 去舊 : ‘去巧(기교를 제거하다)’의 뜻이다. ‘舊’는 ‘故’와 같은데, ‘智’와 함께 쓰일 경우에는 흔히 기교라는 뜻으로 쓰였다. ≪淮南子≫ 〈原道訓〉에 ‘不設智故(지혜와 기교를 베풀지 않는다.)’라 하였는데, 高誘의 注에 “‘智故’는 ‘巧飾’이다.”라고 하였고, 〈俶眞訓〉에 ‘不利曲故 是非相尤(작은 지혜를 희롱하거나 시비를 가지고 서로 허물하지 않는다.)’라 하였는데, 高誘의 注에 “‘曲故’는 ‘曲巧’이다.”라고 한 것이 그 예이며, ≪韓非子≫ 〈解老篇〉에 ‘諸夫飾智故(사람들이 지혜와 기교로 겉치레를 한다.)’라 하였고, 〈八經篇〉에 ‘衆諫以效智故(신하들이 간언하여 지혜와 기교를 과시한다.)’라고 한 예가 있다.
역주2 大雅蕩篇……與時爲韻 : 〈蕩篇〉의 ‘匪上帝不時’의 ‘時’가 ‘殷不用舊’의 ‘舊’와 운자가 되는 것이다.
역주3 召閔篇……與里爲韻 : 〈召閔篇〉의 ‘日辟國百里’와 ‘日蹇國百里’의 ‘里’가 ‘不尙有舊’의 ‘舊’와 운자가 되는 것이다.
역주4 管子牧民篇……與備爲韻 : 〈牧民篇〉의 ‘不恭祖舊’의 ‘舊’가 ‘孝悌不備’의 ‘備’와 운자가 되는 것이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