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2)

한비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103 客多以諫者 靖郭君謂謁者曰 毋爲客通하라하니라 齊人有請見者曰 臣請三言而已호리니 過三言이면 臣請烹하노이다하니 靖郭君因見之
客趨進曰 海大魚라하고 因反走 靖郭君曰 請聞其說이라하니 客曰 臣不敢以死爲戲라하니라
靖郭君曰 願爲寡人言之하라하니 答曰 君聞大魚乎잇가 網不能止 繳不能絓也 蕩而失水 螻蟻得意焉이니이다
今夫齊亦君之海也 君長有齊하면 奚以薛爲잇가 君失齊하면 雖隆薛城至於天이라도 猶無益也리이다하니라
靖郭君曰 善이라하고 乃(輟)[輒]不城薛하다
○盧文弨曰 城上不字衍이니 齊策無
顧廣圻曰 新序作罷民弗城薛也
先愼曰 此當各依本書 乃輒之譌 本書輟輒 多互亂이라 御覽一百九十二引乃不城薛이라하니 蓋不審輟爲輒之誤하야 而誤刪之也


이에 대해 간하는 문객이 많았다. 정곽군이 謁者에게 말하기를 “문객을 들이지 말라.”라고 하였다. 정곽군을 뵙기를 청하는 어떤 나라 사람이 말하기를 “신은 세 마디 말만 고할 것이니, 세 마디 말을 넘으면 신을 삶아 죽이십시오.”라고 하니 정곽군이 그를 만나보았다.
그 문객이 달려 나와 말하기를 “海大魚”라고 하고 바로 뒤돌아 달아났다. 정곽군이 말하기를 “그 이야기를 들었으면 한다.”라고 하니, 그 문객이 말하기를 “신은 감히 목숨을 걸고 장난칠 수는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정곽군이 말하기를 “과인을 위해 말해주시오.”라고 하니, 그 문객이 말하기를 “그대는 큰 물고기를 들어보셨습니까? 그물로도 잡을 수 없고 주살로도 잡을 수 없으나 어쩌다가 풀쩍 뛰어올라 물을 벗어나면 개미 따위에게도 꼼짝을 못 합니다.
지금 나라 또한 그대의 바다인지라 그대가 제나라에서 오랫동안 세력을 잡고 있다면 어찌 땅이 문제이겠습니까. 그러나 그대가 제나라에서 세력을 잃게 된다면 비록 설 땅의 성을 하늘에 닿을 정도로 높게 쌓더라도 아무런 이익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정곽군이 “좋구나.”라고 말하고 곧 땅에 성을 쌓지 않았다.
盧文弨:‘’ 위에 ‘’자는 衍文이니 ≪戰國策≫ 〈齊策〉에 ‘’자가 없다.
顧廣圻:≪新序≫ 〈雜事〉에 ‘罷民弗城薛也(백성을 중지시켜 땅에 성을 쌓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王先愼:이는 응당 각 본에 의거해야 한다. ‘’은 ‘’의 오류이니 본서에 ‘’과 ‘’은 혼용해서 쓴 경우가 많다. ≪太平御覽≫ 권192에 이 글을 인용하면서 ‘乃不城薛’이라고 하였으니, ‘’이 ‘’의 오류라는 것을 살피지 않아 〈‘’자를〉 잘못 삭제한 것이다.



한비자집해(2) 책은 2021.01.1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