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3)

한비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4-33 或曰 景公不知用勢하고 而師曠晏子不知除患이로다 夫獵者 託車輿之安하고 用六馬之足하며 使佐轡 則身不勞而易及輕獸矣니라
今釋車輿之利하며 捐六馬之足 與王良之御하고 而下走逐獸 則雖之足이라도 無時及獸矣어니와 託良馬固車 則臧獲有餘니라
國者 君之車也 勢者 君之馬也 夫不處勢以禁擅愛之臣하고
○先愼曰 誅字衍이요 擅愛 卽上請爵祿行之大臣也 禁擅愛之臣 與下文禁侵陵之臣으로 句例正同이라


혹자는 다음과 같이 論評하였다. 景公은 권세를 사용할 줄 모르고, 師曠晏子患難을 제거할 줄 몰랐다. 사냥하는 사람은 수레의 편안함에 의탁하고 여섯 필 말의 다리 힘을 이용하며 王良 같은 이로 고삐를 잡아 돕게 하면 몸은 수고롭지 않으면서 날쌘 짐승을 쉽게 따라잡을 것이다.
지금 수레의 편리함을 놓아두고 여섯 필 말의 발힘과 왕량 같은 이의 수레 모는 능력을 버리고 수레에서 내려 맨몸으로 달려 짐승을 쫓는다면 樓季와 〈같은 빠른〉 발을 가졌더라도 짐승을 따라잡을 때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좋은 말과 튼튼한 수레에 의탁하면 미천한 奴僕이 〈수레를 몰더라도 짐승을 따라잡기에〉 여유가 있을 것이다.
나라는 군주에게 있어 수레와 같고, 권세는 군주에게 있어 말과 같다. 권세가 있는 지위에 있으면서 제멋대로 恩愛를 시행하는 신하를 제지하거나 처벌하지 못하고,
王先愼:‘’자는 衍文이고, ‘擅愛’는 곧 위의 ‘請爵祿行之大臣(벼슬과 녹봉을 요청하여 대신에게 줌)’의 뜻이다. ‘禁擅愛之臣’은 아래 글의 ‘禁侵陵之臣(침범하고 능멸하는 신하를 금지함)’과 함께 句例가 똑같다.


역주
역주1 王良 : 춘추시대 晉나라의 말을 잘 부리는 사람이다. 晉나라 正卿 趙簡子의 마부이었다.
역주2 樓季 : 전국시대 魏나라의 뛰어오르기를 가장 잘하는 사람이다. 魏 文侯의 아우라고 한다.
역주3 : 集解에 ‘誅’는 衍文이라고 하였으나, ≪韓非子新校注≫ 陳奇猷의 說을 따라 연문으로 처리하지 않고 ‘처벌’로 번역하였다.

한비자집해(3)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