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2 何國可降고하고 乃使其臣張孟談하다 於是乃潛行而出하야
○先愼曰 乾道本 潛下 有於字 張文虎云 秦策呂氏春秋淮南子 皆無於字
案於疑游字之譌 蓋韓子作游하고 他本作行하니 讀者異文 轉寫竝存하고 又以形近譌爲於耳
游者 泅水也 此時城爲水灌하야 不沒者이라 故泅水而出이라하니라
孫詒讓云 十過篇云 張孟談曰 臣請試潛行而出하야 見韓魏之君이라하야늘 潛下 亦無於字라하니라
先愼案 趙本 正無於字일새 今據刪하노라


어느 나라를 굴복시켜 동맹을 맺을까 하고는 곧 그의 신하 장맹담張孟談을 파견하였다. 이때 장맹담은 몰래 숨어서 진양성을 나가
왕선신王先愼건도본乾道本에는 ‘’자 밑에 ‘’자가 있다. 장문호張文虎는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과 ≪여씨춘추呂氏春秋≫․≪회남자淮南子≫에 모두 ‘’자가 없다.
살펴보건대 ‘’자는 아마 ‘’자의 잘못인 듯하다. 대개 ≪한비자韓非子≫에는 ‘’자로 되어 있고 다른 본에 ‘’자로 되어 있는데, 읽는 사람이 방주旁注의 다른 글자를 전사轉寫하면서 그 글자()까지 함께 남겨두었거나, 또는 ‘’자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잘못 ‘’자를 만들었을 뿐이다.
’는 물에서 헤엄치는 것이니, 이때 진양성晉陽城에 물을 대어서 수몰水沒되지 않은 곳이 삼판三版이었다. 그러므로 물에 헤엄을 쳐서 나간 것이다.”라 하였다.
손이양孫詒讓은 “≪한비자韓非子≫ 〈십과편十過篇〉에 ‘장맹담張孟談이 말하기를 「이 한번 몰래 숨어서 진양성을 나가 군주君主를 만나보겠습니다.」 하였다.’라고 하였는데 ‘’자 밑에 역시 ‘’자가 없다.”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조본趙本에 바로 ‘’자가 없기 때문에 지금 이에 의거하여 삭제하였다.


역주
역주1 旁注 : 正文 옆에 단 小注를 말한다.
역주2 三版 : 성벽이나 담장의 높이를 말한다. 옛날 성벽이나 담장을 쌓을 때 사용하는 널빤지 하나의 높이가 두 자[尺]이니 삼판이면 여섯 자이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