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5 乃取欺於亡國하니 是謀臣之拙也니이다 且夫趙當亡而不亡하고 秦當霸而不霸하니 天下固以量秦之謀臣一矣니이다
乃復悉士卒以攻邯鄲이나 不能拔也하야 棄甲하고 戰竦而卻하니 天下固已量秦力二矣니이다
○先愼曰 乾道本 無卻字 顧廣圻云 今本 兵作負하니 而下 有卻字하고 策有하니 高注 退也
吳師道引此無 策作怒하고 吳引作拏하니 不合이라하니라 先愼案 而下 當有卻字 依今本增이라
棄甲兵弩四字 不成文이라 兵當作與 說文 古文作하고하니 二字篆形相近而誤


도리어 멸망해야 할 나라(나라)에 속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모신謀臣의 졸렬함 때문입니다. 또 조나라는 당연히 멸망해야 하는데 멸망하지 않고 나라는 당연히 패주霸主가 되어야 하는데 패주가 되지 못했으니, 천하의 제후국들이 진실로 진나라 모신의 지모智謀를 헤아려 안 것이 첫 번째 실수입니다.
진나라가 마침내 다시 사졸士卒을 모두 동원하여 한단邯鄲을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여 갑옷을 버리고 쇠뇌를 짊어진 채 두려워 벌벌 떨면서 퇴각하였으니, 천하의 제후국들이 진실로 이미 진나라의 군사력을 헤아려 안 것이 두 번째 실수입니다.
왕선신王先愼건도본乾道本에 ‘’자가 없다. 고광기顧廣圻는 “금본今本에 ‘’은 ‘’로 되어 있으니 틀렸고, ‘’자 아래에 ‘’자가 있고,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에는 있는데, 고유高誘에 ‘「」은 퇴각함이다.’라 하였다.
오사도吳師道는 이 부분을 인용한 것이 없다. ‘’는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에 ‘’로 되어 있고, 오사도吳師道는 인용하면서 ‘’로 되어 있으니 합당하지 않다.”라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자 아래에 당연히 ‘’자가 있어야 하니 금본今本에 의거하여 추가하였다.
기갑병노棄甲兵弩’ 네 글자는 문장이 되지 않는다. ‘’은 응당 ‘’가 되어야 하니,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는 고문古文에 ‘’로 되어 있고, ‘’은 ‘’으로 되어 있으니, 두 글자의 전자篆字 모양이 서로 근사하여 잘못된 것이다.


역주
역주1 (兵)[負] : 저본에는 ‘兵’으로 되어 있으나, “今本(迂評本․趙本․凌本 등)에 ‘兵’은 ‘負’로 되어 있다.”라고 한 ≪韓非子新校注≫ 顧廣圻의 설에 의거하여 ‘負’로 바로잡았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