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4-4 非能生功止過者也 是故禁姦之法 太上 禁其心이요 其次 禁其言이요 其次 禁其事니라
今世皆曰 尊主安國者 必以仁義智能이라하야늘 而不知卑主危國者之必以仁義智能也 故有道之主 遠仁義하고 去智能하야 服之以法이라
是以譽廣而名威하고 民治而國安하니 知用民之法也일새니라
凡術也者 主之所以執也 法也者 官之所以師也 然使日聞道於之外하야 以至於境內日見法 又非其難者也니라
○顧廣圻曰 墨子所染篇云 夏桀染於干辛推哆라하고 明鬼篇云 推哆大戱 兕虎라하며 古今人表下中 有推侈하니 卽此侯侈
又呂氏春秋簡選篇云 移 大犧라하고 淮南子主術訓云 推移大犧라하니 侈哆移 皆同字耳
王念孫曰 矦當作隹 形相似而誤注+① 隷書從隹從矦之字 往往譌溷하니 舌下 墨子所染篇明鬼篇 竝作推哆하고 晏子諫篇漢書古今人表 竝作推侈하니
隹與推 聲相近이라 故通作推也 其爲隹字無疑


공을 창출하고 허물을 그치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간사한 일을 금하는 법 중에 최상은 간사한 마음을 막는 것이고, 그 다음은 간사한 말을 막는 것이고, 그 다음은 간사한 일을 막는 것이다.
지금 세상 사람들은 모두 “군주를 존귀하게 하고 나라를 안정시키는 일은 반드시 인의仁義지능智能으로써 한다.”라고 하는데, 군주를 비천하게 하고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일이 반드시 인의와 지능 때문이라는 것은 모른다. 그래서 통치의 를 터득한 군주는 인의를 멀리하고 지능을 버려서 으로써 복종시킨다.
이 때문에 칭송이 자자하고 명성을 크게 떨치며 백성은 잘 다스려지고 나라는 편안해지니, 백성을 다루는 법을 알았기 때문이다.
무릇 ‘’이란 군주가 확고하게 잡아야 하는 것이고, ‘’이란 관리가 받들어 따라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낭중郎中으로 하여금 날마다 〈법치의〉 도를 궁궐의 문 바깥에 알리게 해서 나라 안에 날로 법을 알게 하는 일은 또한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다.
예전에 유호씨有扈氏에게는 실도失度가 있었고 환두씨讙兜氏에게는 고남孤男이 있었으며, 삼묘三苗에게는 성구成駒가 있었고 에게 추치隹侈가 있었으며
고광기顧廣圻:≪묵자墨子≫ 〈소염편所染篇〉에 “나라 간신干辛추치推哆에게 물들었다.”라고 하였고, 〈명귀편明鬼篇〉에 “추치推哆대희大戱가 산 채로 무소와 범을 갈랐다.”라고 하였으며, ≪한서漢書≫ 〈고금인표古今人表 하중下中〉에 ‘추치推侈’가 나오니, 바로 이 ‘후치侯侈’이다.
또 ≪여씨춘추呂氏春秋≫ 〈간선편簡選篇〉에 “대희大犧이다.”라고 하였고, ≪회남자淮南子≫ 〈주술훈主術訓〉에 “추이推移대희大犧이다.”라고 하였으니, ‘’․‘’․‘’는 모두 동자同字일 뿐이다.
왕염손王念孫:‘’는 ‘’가 되어야 하니, 자형字形이 서로 비슷해서 잘못된 것이다.注+隷書에 ‘隹’를 따르는 글자와 ‘矦’를 따르는 글자는 종종 잘못 섞여버리니, 그 내용이 ≪墨子≫ 〈非命篇〉 ‘惟舌’ 아래에 보인다.묵자墨子≫ 〈소염편所染篇〉과 〈명귀편明鬼篇〉에 모두 ‘추치推哆’로 되어 있고, ≪안자晏子≫ 〈간편諫篇〉, ≪한서漢書≫ 〈고금인표古今人表〉에 모두 ‘추치推侈’로 되어 있다.
’와 ‘’는 성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로 되어 있는 것이니, 〈여기에서〉 ‘’자가 되는 것은 의심할 것이 없다.


역주
역주1 郎中 : 임금의 출입문과 車騎 등에 관한 일을 주관하며, 안에서는 侍衛에 보충되고 밖에서는 전쟁에 隨從하는 近臣을 이른다.
역주2 郎門 : 궁궐 回廊의 문이다. ‘郞’은 ‘廊’과 같다.
역주3 有扈氏有失度 : 有扈氏는 夏나라 때 인물로, 禹임금의 아들 啓에게 불복하다가 啓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陝西省 鄠縣에 있었다.(≪書經≫ 〈甘誓〉) 失度는 有扈氏의 相을 지낸 인물이다. ≪路史≫ 〈夏后紀〉에 “戶氏가 공손하지 못하여 失度를 믿고 相을 삼았고 五常의 도를 위협해 업신여겼다.[戶氏不恭 信相失度 威侮五行]”라고 하였다. ‘戶’와 ‘扈’는 통용한다.
역주4 讙兜氏有孤男 : 讙兜氏는 ≪書經≫ 〈堯典〉에 ‘驩兜’로 되어 있다. 堯임금 때 四凶의 하나로 지목되어 崇山에 추방되었다. 孤男은 讙兜氏에게서 집권하였던 寵臣으로 추측된다. ≪路史≫ 〈國名紀〉에 “驩兜가 폐신 狐攻에게 전권을 주었다가 나라가 망했다.[驩兜以嬖臣狐攻專權亡國]”라 하였다. ‘孤男’과 ‘狐攻’은 동일한 인물로 보인다.
역주5 三苗有成駒 : 三苗는 堯舜 때 江․淮․荊州에 자리 잡고 있었던 蠻族의 이름으로, 有苗라고도 한다. 四凶으로 지목되어 三危로 쫓겨나 구금되었다. 成駒는 人名인데 상고할 수 없다.
역주6 (侯)[隹]侈 : 夏나라 桀王 때 인물이다. 재상으로 桀의 폭정을 종용한 자로 추정된다.
역주7 (主別)[生列] : 저본에는 ‘主別’로 되어 있으나, ≪墨子閒詁≫의 교감에 의거하여 ‘生列’로 바로잡았다.
역주8 說見墨子非命篇(爲)[惟]舌下 : 王念孫의 ≪讀書雜志≫에 〈墨子 非命 下〉의 ‘惟舌’ 조항에 보인다.
역주9 (爲)[惟] : 저본에는 ‘爲’로 되어 있으나, ≪讀書雜志≫에 의거하여 ‘惟’로 바로잡았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