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8-76 左右對曰 甚然이로소이다 伏瑟而對
○先愼曰 各本 伏瑟 作推琴이라 顧廣圻云 史記魏世家云 中旗憑琴이라하야늘 索隱云 按戰國策 作推琴하고 春秋後語 中旗伏琴이어늘 而韓子 作推瑟하고 說苑 作伏瑟하니 文各不同이라
按索隱 引此作瑟하니 是也 當作憑이니 憑伏同字 難二篇云 師曠伏琴而笑之라하니라
先愼案 御覽四百五十九 引作中旗伏瑟이라하니 今據改


측근 신하가 대답하였다. “정말 그렇습니다.” 중기中期 위에 엎드려 대답하였다.
왕선신王先愼각본各本에 ‘복슬伏瑟’은 ‘추금推琴’으로 되어 있다. 고광기顧廣圻는 “≪사기史記≫ 〈위세가魏世家〉에 ‘중기빙금中旗憑琴(중기中期 위에 엎드리다.)’이라고 하였는데, ≪사기색은史記索隱≫에 ‘살펴보건대 ≪전국책戰國策≫에 「추금推琴」으로 되어 있고, ≪춘추후어春秋後語≫에 「중기복금中旗伏琴」으로 되어 있는데, ≪한비자韓非子≫에 「추슬推瑟」로 되어 있고 ≪설원說苑≫에 「복슬伏瑟」로 되어 있으니, 글이 저마다 같지 않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사기색은≫에서 이 글을 인용하면서 ‘’로 되어 있으니, 옳다. ‘’는 ‘’이 되어야 하니, ‘’과 ‘’은 동자同字이다. ≪한비자韓非子≫ 〈난이편難二篇〉에 ‘사광복금이소지師曠伏琴而笑之(사광師曠 위에 엎드려 웃다.)’라고 나온다.”라고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태평어람太平御覽≫ 권459에 이 글을 인용하면서 “중기복금中旗伏瑟”이라 하였으니, 지금 이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
역주1 中期 : 戰國時代 秦나라 樂師이다. ≪史記≫에는 ‘中旗’, ≪說苑≫에는 ‘申旗’로 나온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