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7-9 此無術之患也니라 明君之道 賤(德義)[得議]貴하며 下必坐上하며 決誠以參하며 聽無門戶
人莫能測也
○顧廣圻曰 藏本同이라 下必坐上決誠以 今本 作法術倒言而詭使 按德義 當作得議 形近之誤 七術篇云 夫不使賤議貴下必坐上云云하고 又經云 觀聽不參則誠不聞하며 聽有門戶則主壅塞하니 卽此文之證이라 下必坐上者 商君之 今本不能讀하고 輒加改易하니 謬甚이라
先愼曰 顧說是 張榜本 無下必坐上決誠以七字하니 亦非注+① 七術篇 不當有必字 說見彼


이것은 법술法術이 없기 때문에 생기는 우환이다. 현명한 군주의 도는 비천한 자가 존귀한 자를 비방할 수 있고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죄를 고발하지 않으면〉 반드시 윗사람에 연좌되며, 검증을 통해 실상을 판결하고 고정된 통로가 없이 다양하게 의견을 듣는다.
구주舊注:아무도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고광기顧廣圻장본藏本은 같다. ‘하필좌상결성이下必坐上決誠以’는 금본今本에 ‘법술도언이궤사法術倒言而詭使’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덕의德義’는 ‘득의得議’가 되어야 하니, 자형字形이 비슷해서 잘못되었다. 〈칠술편七術篇〉에 “부불사천의귀하필좌상夫不使賤議貴下必坐上……(무릇 비천한 자로 하여금 존귀한 자를 비방하게 하거나 아랫사람으로 하여금 윗사람과 연좌되지 못하게 하며……)”이라 하였고, 또 경문經文에 “관청불참즉성불문觀聽不參則誠不聞 청유문호즉주옹색聽有門戶則主壅塞(살피고 듣는 과정에서 〈여러 단서들을〉 참고하지 않으면 진실을 듣지 못하며, 〈말을〉 들어주되 문호門戶가 있는 듯 〈일방적으로 따르면 신하가〉 군주의 〈눈과 귀를〉 막게 된다.)”이라고 하였으니, 곧 이 글의 증거이다. ‘하필좌상下必坐上’은 상군商君의 ‘고좌告坐(고발하여 연좌하는 법)’이다. 금본今本은 제대로 읽지 못하고 번번이 고쳤으니, 매우 잘못되었다.
왕선신王先愼고광기顧廣圻의 설이 옳다. 장방본張榜本에 ‘하필좌상결성이下必坐上決誠以’ 일곱 글자가 없으니, 역시 틀렸다.注+≪韓非子集解≫ 〈內儲說 上 七術篇〉에 〈의거하면〉 ‘必’자가 있어서는 안 되니,


역주
역주1 告坐 : 백성을 열 집과 다섯 집씩 조직하여 그 가운데 죄를 범한 사람이 있어서 혹 고발하는 사람이 있으면 조직된 열집과 다섯 집이 함께 연좌하는 것이다.(〈和氏篇〉 舊注 참조)
역주2 자세한……보인다 : ≪譯註 韓非子集解≫ 3책 116쪽, 30-110에 보인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