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7-27 衣成이면 君擧而服之하니 亦臣之力也니이다 君何力之有리잇가
伏琴而笑之하니 公曰 奚笑也
師曠對曰 臣笑叔向之對君也로소이다 凡爲人臣者和五味而進之君이니 君弗食이라도 孰敢强之也리잇가
臣請譬之호리이다 君者 壤地也 臣者 草木也 必壤地美라야 然後草木碩大하니 亦君之力也니이다
○先愼曰 乾道本 無也字 盧文弨云 也字脫하니 張本有라하야늘 今據補하노라


옷이 완성되면 군주가 그 옷을 들어 입었으니 역시 신하의 능력입니다. 군주가 무슨 능력이 있겠습니까?”
사광師曠 위에 엎드려 웃으니, 평공平公이 물었다. “태사太師는 어찌하여 웃는 것이오?”
사광이 대답하였다. “숙향叔向이 임금께서 〈물으신 일에〉 대답한 말을 듣고 웃은 것입니다. 대저 신하가 된 사람은 요리사가 다섯 가지 맛으로 음식을 알맞게 조미調味하여 임금께 올리는 것과 같습니다. 임금이 먹지 않더라도 누가 감히 〈먹으라고〉 강요할 수 있겠습니까?
신이 비유하여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임금은 토양土壤과 〈흡사하고,〉 신하는 초목草木과 〈흡사합니다.〉 반드시 토양이 좋아야 그런 뒤에 초목이 무성하게 자라게 되니, 이는 역시 군주君主의 능력입니다.
왕선신王先愼건도본乾道本에 〈‘역군지력야亦君之力也’의〉 ‘’자가 없다. 노문초盧文弨는 “‘’자가 탈락되었으니, 장본張本에 있다.”라고 하였기에 지금 이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
역주1 師曠 : 春秋時代 晉나라의 저명한 樂師이다. 태어나면서부터 눈이 보이지 않았으나 博學多才하고 음악에 정통하고 琴의 연주에 뛰어났으며, 특히 音律에 밝아 후세에 ‘師曠之聰’으로 일컬어졌다.
역주2 太師 : 옛날 樂官의 우두머리이다.
역주3 炮宰 : ‘炮’자는 ‘庖’와 통용하며, 요리사를 뜻한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