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5-73 蔬菜橡果棗栗 足以活民이니 請發之하소서
昭襄王曰 吾秦法 使民有功而受賞하고 有罪而受誅니라 今發五苑之蔬果者하면
○先愼曰 乾道本 果作草어늘 拾補 作果
盧文弨云 張本 作草라하고 顧廣圻云 今本 草作果 按下文云 不如棄棗蔬而治라하야늘 互異 未詳이라하니라
先愼按 作果者是也 下文 蓏蔬棗栗이라하니 蓏蔬 草屬이요 棗栗 果屬이라 故此𡞞文云 蔬果 若作草字하면 則偏而不備하니 下云 棄棗蔬而治 卽其例
經注云 應侯欲發蔬果以救人이라하니 蔬果二字本此 是注所見之本尙不誤어늘 顧氏未之審耳 改從今本이라 御覽引作果蔬


채소, 상수리 열매, 대추, 밤은 백성들을 살릴 수 있으니, 청컨대 개방하소서.”
소양왕昭襄王이 말하였다. “우리 나라의 법은 백성들 중에 공이 있으면 상을 받고 죄를 지으면 벌을 받게 한다. 지금 다섯 정원의 채소와 과일을 개방하면
왕선신王先愼건도본乾道本에 〈‘금발오원지소과자今發五苑之蔬果者’의〉 ‘’는 ‘’로 되어 있는데, ≪군서습보群書拾補≫에는 ‘’로 되어 있다.
노문초盧文弨는 “장본張本에 ‘’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고, 고광기顧廣圻는 “금본今本에 ‘’는 ‘’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아래 글에 ‘불여기조소이치不如棄棗蔬而治’라 하였는데, 서로 다르게 한 이유는 자세히 알 수 없다.”라고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로 된 것이 옳다. 아래 글에 ‘라소조율蓏蔬棗栗’이라고 하였으니, ‘나소蓏蔬’는 푸성귀의 종류이고, ‘조율棗栗’은 과일의 종류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글자를 줄여서 ‘소과蔬果’라고 한 것이다. 만약 ‘’자로 되면 치우쳐서 뜻을 갖추지 못하니, 아래 글에서 ‘기조소이치棄棗蔬而治’라고 한 것이 그 예이다.
구주舊注에 ‘응후욕발소과이구인應侯欲發蔬果以救人’이라 하였으니, ‘소과蔬果’ 두 글자는 여기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는 구주舊注에서 본 책이 아직 잘못되지 않았던 것인데, 고씨顧氏가 자세히 살피지 못하였으니, 금본今本에 따라 고쳤다. ≪태평어람太平御覽≫에는 이 글을 인용하면서 ‘과소果蔬’로 되어 있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