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66 若天若地 是謂니라
天地高厚 不可測者也 君用意如天地 則上因下考之累可解也
○兪樾曰 累解 古人常語也 荀子富國篇 則和調累解라하니 累解與和調竝言일새 可知其義
楊注 以爲嬰累解釋 非也 儒效篇 解果其冠이라하야늘 楊注引說苑蟹螺者宜禾爲證하니 然則累解 猶蟹螺矣
古語雖不盡可通이나 而累解二字平列 則塙然無疑 舊注之失 與楊注同이라


군주가 하늘처럼 하고 땅처럼 하는 것을 일러 ‘서로 화합한다[루해累解]’라고 한다.
구주舊注:하늘과 땅의 높고 두터움은 짐작할 수가 없는 것이다. 군주가 뜻을 운용하기를 하늘과 땅처럼 하면 군주가 틈을 보이고 신하가 따져보는 부담을 해소할 수가 있다.
유월兪樾:‘루해累解’는 곧 첩운자疊韻字이니, 고인古人의 상용어이다. ≪순자荀子≫ 〈부국편富國篇〉에 ‘칙화조루해則和調累解(조화롭고 화합한다.)’라 하였는데, ‘루해累解’를 ‘조화調和’와 나란히 말하였으니, 그 뜻을 알 수 있다.
양경楊倞에서 ‘영루해석嬰累解釋(얽힌 것을 풀어주다.)’라고 한 것은 틀렸다. ≪순자荀子≫ 〈유효편儒效篇〉에 ‘해과기관解果其冠(관을 가운데가 높고 양쪽을 낮게 하였다.)’이라 하였는데, 양경의 에서 ≪설원說苑≫의 ‘해라자의화蟹螺者宜禾(높은 곳의 농지에는 벼가 잘 자란다.)’를 인용하여 증거를 삼았으니, 그렇다면 ‘루해累解’는 ‘해라蟹螺’와 같은 것이다.
고어古語를 비록 다 통할 수는 없지만 ‘루해累解’ 두 글자가 나란히 놓여 쓰이는 것임은 확실히 의심할 것이 없다. 구주舊注의 잘못은 양경의 와 같다.


역주
역주1 累解 : 얽힌 것이 풀렸다는 말인데, 상호 조화되거나 서로 화해함을 뜻하는 古語이다.
역주2 疊韻字 : 漢語에서, 두 글자나 몇 개 글자의 韻母가 서로 같은 숙어를 이르는 말인데, 童蒙, 螳螂, 連綿, 嬋娟 등이 그 예이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