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5 恃其精潔[治辨]하야 而更不能以枉法爲治하니
			                         
                        		
                        		
                        		
	                     		
			                       	
			                       	
	                     		
	                     		
		                        
                        	
                        	
                        	
                        	
                        		
                        		
                        		
                        			
                        			
		                       		
		                       		
		                       		
		                       			
		                       			
		                       			
		                       				注
		                       		
		                        
		                        	
		                        		
		                            	旣精潔이라 故不能枉法爲治라 智士不重說은 似闕文也라 
		                            	 
									
                        			
                        			
                        		
	                     		
			                       	
			                       	
	                     		
	                     		
		                        
                        	
                        	
                        	
                        	
                        		
                        		
                        		
                        			
                        			
		                       		
		                       		
		                       		
		                        
		                        	
		                        		
		                            	○顧廣圻曰 其修士는 修下에 當脫智之二字요 精潔은 當作精辯이라 
		                            	 
									
                        			
                        			
                        		
	                     		
			                       	
			                       	
	                     		
	                     		
		                        
                        	
                        	
                        	
                        	
                        		
                        		
                        		
                        			
                        			
		                       		
		                       		
		                       		
		                        
		                        	
		                        		
		                            	下文云 則修智之士 不事左右는 卽謂貨賂요 不聽請謁은 卽謂枉法이니 文相承也라 
		                            	 
									
                        			
                        			
                        		
	                     		
			                       	
			                       	
	                     		
	                     		
		                        
                        	
                        	
                        	
                        	
                        		
                        		
                        		
                        			
                        			
		                       		
		                       		
		                       		
		                        
		                        	
		                        		
		                            	下文又云 則精辨之功息이라하니 幷言精辯與幷言修潔同例라 舊注에 智士不重說 似有脫文은 誤라 
		                            	 
									
                        			
                        			
                        		
	                     		
			                       	
			                       	
	                     		
	                     		
		                        
                        	
                        	
                        	
                        	
                        		
                        		
                        		
                        			
                        			
		                       		
		                       		
		                       		
		                        
		                        	
		                        		
		                            	兪樾曰 其修士三字는 衍文也라 上文云 其修士는 且以精絜固身하고 其智士는 且以治辯進業이라하고 此云 不能以貨賂事人은 
		                            	 
									
                        			
                        			
                        		
	                     		
			                       	
			                       	
	                     		
	                     		
		                        
                        	
                        	
                        	
                        	
                        		
                        		
                        		
                        			
                        			
		                       		
		                       		
		                       		
		                        
		                        	
		                        		
		                            	則總蒙修士智士爲文이니 言其皆不能也라 恃其精潔은 當作恃其精潔治辨이니 
		                            	 
									
                        			
                        			
                        		
	                     		
			                       	
			                       	
	                     		
	                     		
		                        
                        	
                        	
                        	
                        	
                        		
                        		
                        		
                        			
                        			
		                       		
		                       		
		                       		
		                        
		                        	
		                        		
		                            	因衍其修士三字면 則此文專屬修士니 遂刪去治辯二字耳라 舊注謂不重知士 似有闕文은 是其所據本已誤라 
		                            	 
									
                        			
                        			
                        		
	                     		
			                       	
			                       	
	                     		
	                     		
		                        
                        	
                        	
                        	
                        	
                        		
                        		
                        		
                        			
                        			
		                       		
		                       		
		                       		
		                        
		                        	
		                        		
									
                        			
                        			
                        		
	                     		
			                       	
			                       	
	                     		
	                     		
		                        
                        	
                        	
                        	
                        	
                   			
                    			
                    				
                    				 
                    			
                   			
                        	
                        	
                        	
                        	
	                       	
	                       	
	                       	
	                       	
							                       	
	                        
	                        
	                        	
	                        
	                        	
	                        
	                        	
	                        
	                        	
	                        
	                        	
	                        
	                        	
	                        
	                        	
	                        
	                        	
	                        
	                        	
	                        
	                        	
	                        
	                        	
	                        
	                        	
	                        
	                        	
	                        
	                        	
	                        
	                        	
	                        
	                        	
	                        
	                        	
	                        
	                        	
	                        
	                        
	                        
                        	
		                        
		                        
		                        
		                        
                        		
                        	
		                        
		                        
		                        
		                        	
		                        	
		                        
		                        
                        		
                        		
                        			
			                        
			                        	자기의 청렴결백과 적확하게 다스리는 능력을 믿어서, 다시 법을 굽혀서 정사를 처리하지 않으니,
			                              
                        			
                        		
                        		
	                     		
			                       	
			                       	
	                     		
		                        
                        	
		                        
		                        
		                        
		                        
                        		
                        	
		                        
		                        
		                        
		                        
                        		
                        		
                        		
                        			
                        			
		                       		
		                       		
		                       		
		                       			
		                       			
		                       			
		                       				注
		                       		
		                       		
		                        		
			                            	구주舊注:이미 몸을 정결히 하였기 때문에 법을 굽혀서 정사를 처리하지 않는다. ‘지사智士’에 대해 거듭하여 말하지 않은 것은 아마 궐문闕文이 있는 듯하다. 
			                             
									
                        			
                        			
                        		
	                     		
			                       	
			                       	
	                     		
		                        
                        	
		                        
		                        
		                        
		                        
                        		
                        	
		                        
		                        
		                        
		                        
                        		
                        		
                        		
                        			
                        			
		                       		
		                       		
		                       		
		                       		
		                        		
			                            	○고광기顧廣圻:‘기수사其修士’는 ‘수修’ 아래에 ‘지지智之’ 두 글자가 탈락되었고, ‘정결精潔’은 ‘정변精辯’이 되어야 한다. 
			                             
									
                        			
                        			
                        		
	                     		
			                       	
			                       	
	                     		
		                        
                        	
		                        
		                        
		                        
		                        
                        		
                        	
		                        
		                        
		                        
		                        
                        		
                        		
                        		
                        			
                        			
		                       		
		                       		
		                       		
		                       		
		                        		
			                            	아래 글의 ‘칙수지지사 불사좌우則修智之士 不事左右’는 뇌물을 쓰는 것을 이르고, ‘불청청알不聽請謁’은 법을 굽히는 것을 이르니, 문맥이 서로 이어진다. 
			                             
									
                        			
                        			
                        		
	                     		
			                       	
			                       	
	                     		
		                        
                        	
		                        
		                        
		                        
		                        
                        		
                        	
		                        
		                        
		                        
		                        
                        		
                        		
                        		
                        			
                        			
		                       		
		                       		
		                       		
		                       		
		                        		
			                            	아래 글에 또 ‘칙정변지공식則精辯之功息’이라 하였으니, ‘정변精辯’이라고 나란히 말하는 것과 ‘수결修潔’이라고 나란히 말하는 것과 같은 예이다. 구주舊注에서 ‘지사智士에 대해 거듭하여 말하지 않은 것은 아마 궐문闕文이 있는 듯하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유월兪樾:‘기수사其修士’ 세 글자는 연문衍文이다. 윗글에 ‘기수사차이정결고신 기지사차이치변진업其修士且以精絜固身 其智士且以治辯進業’이라 하고, 여기서 ‘불능이화뢰사인不能以貨賂事人’이라 한 것은 
			                             
									
                        			
                        			
                        		
	                     		
			                       	
			                       	
	                     		
		                        
                        	
		                        
		                        
		                        
		                        
                        		
                        	
		                        
		                        
		                        
		                        
                        		
                        		
                        		
                        			
                        			
		                       		
		                       		
		                       		
		                       		
		                        		
			                            	수양한 선비와 지모가 있는 선비를 종합적으로 이은 문구이니, 그들 모두가 그리 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시기정결恃其精潔’은 ‘시기정결치변恃其精潔治辨(자기의 청렴결백과 적확하게 다스리는 능력을 믿는다.)’이 되어야 하니, 
			                             
									
                        			
                        			
                        		
	                     		
			                       	
			                       	
	                     		
		                        
                        	
		                        
		                        
		                        
		                        
                        		
                        	
		                        
		                        
		                        
		                        
                        		
                        		
                        		
                        			
                        			
		                       		
		                       		
		                       		
		                       		
		                        		
			                            	연문衍文인 ‘기수사其修士’ 세 글자를 따르면 이 문구는 오로지 수양한 선비에만 속해야 하므로 마침내 ‘치변治辯’ 두 글자를 삭제한 것이다. 구주舊注에서 ‘지사智士를 거듭하지 않은 것에 대해 빠진 문구가 있는 듯하다.’고 한 것은 의거한 본이 이미 잘못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