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5-6 民之急名也 甚其求利也 如此인댄 則士之飢餓乏絶者 焉得無巖居苦身以爭名於天下哉리오
故世之所以不冶者 非下之罪 上失其道也니라 常貴其所以亂하고 而賤其所以治 是故下之所欲 常與上之所以爲治相詭也니라
今下而聽其上 上之所急也
而惇慤純信하고 用心 則謂之窶라하고
○先愼曰 乾道本 則作時어늘 據藏本今本改하노라 怯言二字 當爲少欲之誤
因少欲二字錯簡在寬惠行德句上하야 乾道本遂涉下文之字而誤增이라
藏本以意改爲壹者하고 張趙本改爲一者하니 竝非


백성이 에 급급해하는 것이 를 추구하는 것보다 심하니, 이와 같다면 선비들 가운데 굶주리고 궁핍한 자가 어찌 산중에 살면서 몸을 고생시켜 을 천하에 다투려고 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세상이 다스려지지 않는 것은 아랫사람의 죄가 아니요 윗사람이 그 를 잃어서이다. 항상 어지럽게 되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다스려지는 것을 하찮게 여기기 때문에, 아랫사람이 하려고 하는 것은 항상 윗사람이 다스리는 바와 서로 어긋난다.
지금 아랫사람이 그 윗사람의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은 윗사람이 급급하게 여겨서이다.
그런데도 도탑고 성실하며 순수하게 믿으며 전심全心으로 말을 조심하는 것을 일러 ‘’라 하고,
왕선신王先愼건도본乾道本에 ‘’자가 ‘’자로 되어 있는데, 장본藏本금본今本에 의거하여 고쳤다. ‘겁언怯言’ 두 글자는 응당 ‘소욕少欲’이 잘못된 것이다.
소욕少欲’ 두 글자가 ‘관혜행덕寬惠行德(널리 은혜를 베풀고 덕을 행함)’ 위에 착간된 것으로 인하여, 건도본乾道本은 마침내 아래 글의 글자와 연계되어 잘못 더해졌다.
장본藏本은 뜻을 가지고 ‘일자壹者’로 고쳤고, 장본張本조본趙本은 ‘일자一者’로 고쳤으니 모두 틀렸다.


역주
역주1 怯言 : 王先愼은 ‘怯言’을 ‘少欲’으로 고쳤으나, ≪韓非子新校注≫ 陳奇猷의 설에 의거하여 고치지 않았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