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25 不鬪而死人手하고 死而陳於市하고
○先愼曰 安于 十過七術篇作閼于 觀行篇作安이니 與此同이라 案安閼 古通이라
左定十三年傳 作安이요 淮南道應訓作閼이니 是也 惟趙策安閼兩有爲誤


복자천宓子賤서문표西門豹는 다투지 않았는데도 남의 손에 죽임을 당했고, 동안우董安于는 죽어서 시신이 시장에 널렸고
西門豹(≪古聖賢像傳略≫)西門豹(≪古聖賢像傳略≫)
宰予(≪聖賢像讚≫)宰予(≪聖賢像讚≫)
왕선신王先愼:‘안우安于’는 ≪한비자韓非子≫ 〈십과편十過篇〉과 〈내저설 상內儲說 上 칠술편七術篇〉에 ‘알우閼于’로 되어 있고 〈관행편觀行篇〉에는 ‘’으로 되어 있으니 여기와 마찬가지이다. 살펴보건대 ‘’과 ‘’은 고자古字에서 통용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정공定公 13년 조에는 ‘’으로 되어 있고,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에는 ‘’로 되어 있으니 이것이다. 오직 ≪전국책戰國策≫ 〈조책趙策〉에는 ‘’과 ‘’이 함께 쓰여 있으니 잘못된 것이다.


역주
역주1 宓(복)子賤 : 宓子賤은 孔子의 제자로 성품이 매우 仁愛하여 일찍이 單父(선보)를 다스릴 적에 항상 거문고만 타고 堂 아래를 내려가지 않았으나 선보가 잘 다스려졌다고 한다.
역주2 西門豹 : 전국시대 魏나라 사람이다. 그가 鄴의 수령으로 있을 때 그 지방 풍속이 무당을 믿어 해마다 돈을 거두어서 민가의 여자를 선출하여 하수에 던지며 이를 河伯에게 시집보낸다고 했다. 이 일로 인하여 그 지방 백성들이 괴로워했는데, 서문표가 그 무당을 하수에 던짐으로써 그 폐단이 없어지게 되었다는 치적이 유명하다.
역주3 董安于 : 춘추시대 晉나라 趙鞅의 유능한 家臣이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