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2)

한비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0-136 則傷人也憯하며 憯則退而自咎하니 退而自咎也 生於欲(利)[得]이라 故曰 咎莫憯於欲(利)[得]이라하니라
○顧廣圻曰 今德經 作大 傅本與此合이라 傅本及德經 皆作得이라
按當作得이니 上文云 欲利 猶欲得也 又云라하니 仍作得可證이라 喩老不誤
先愼曰 李約本 作甚하고 說文 痛也라하니 古音 甚憯同이라 利當作得이니 顧說 以上見四十六章이라


사람을 상하게 하여 비참하게 하며, 비참해지면 물러나 스스로 허물하니, 물러나 스스로 허물하는 것은 이득을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老子≫에서 “허물을 자책하는 것으로는 이득을 바라는 것보다 더 비참한 것은 없다.”라고 한 것이다.
顧廣圻:지금의 ≪德經≫에 ‘’은 ‘’로 되어 있으니, 잘못이다. 傅奕本은 이와 합치된다. 傅奕本과 ≪德經≫에 ‘’는 모두 ‘’으로 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응당 ‘’이 되어야 하니, 윗글에 ‘欲利’라고 한 것은 ‘欲得’과 같다. 또 ‘其欲得之憂不除也’라고 하였으니, 곧 ‘’이 되는 것이 증명된다. 〈喩老篇〉은 잘못되어 있지 않다.
王先愼李約本에 ‘’은 ‘’으로 되어 있고, ≪說文解字≫에 “이다.” 하였으니, 古音으로는 ‘’과 ‘’이 같다. ‘’는 ‘’이 되어야 하니, 顧廣圻의 설이 옳다. 이상의 내용은 ≪老子≫ 46장에 보인다.


역주
역주1 其欲得之憂不除也 : 본서 242쪽 20-131에 보인다.

한비자집해(2) 책은 2021.01.1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