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3)

한비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4-2 勢不足以化則除之니라 之對 之說 皆(合)[舍]勢之易也하고 而道行之難이니
○顧廣圻曰 合 當作舍 形近誤 此舍與道 勢與行皆相對 去聲讀之
難一篇 釋庸主之所易하고 道堯舜之所難이라하고 又難二篇 不出乎莫不然之數하고 而道乎百無一之行이라하니 句例同이라
又用人篇 釋三易之數하고 而行一難知之心이라하고 五蠹篇 舍必不亡之術하고 而道必滅之事라하니 句例皆同이라
王先謙曰 道 由也 如字라야 義順이니 不必讀去聲이라


자기의 권세가 신하를 변화시키기에 부족하면 그 신하를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師曠의 대답과 晏子의 말은 모두 權勢를 이용하여 신하를 쉽게 제재하는 방법을 버리고 德行을 이용하여 신하를 감화시키는 어려운 방법을 따르는 것이니,
顧廣圻:‘’은 응당 ‘’가 되어야 하니 字形이 비슷하여 잘못된 것이다. 이는 ‘’와 ‘’, ‘’와 ‘’이 모두 서로 對偶이다. ‘’은 去聲의 뜻(品行, 德行)으로 읽어야 되니,
難一篇〉에 ‘釋庸主之所易 道堯舜之所難(평범한 군주가 행하기 쉬운 방법을 버리고 堯舜도 행하기 어려운 방법을 따른다.)’이라 하였고, 또 〈難二篇〉에 ‘不出乎莫不然之數 而道乎百無一之行(사람들이 모두 그렇게 여기는 방법으로 나가지 않고 백 사람 중에 한 사람도 가지 않는 길을 따른다.)’이라고 하였으니 句例가 똑같다.
또 〈用人篇〉에 ‘釋三易之數 而行一難知之心(세 가지 쉬운 방법을 버리고 한 가지 알기 어려운 마음속의 일을 행한다.)’이라 하였고, 〈五蠹篇〉에 ‘舍必不亡之術 而道必滅之事(반드시 망하지 않을 방법을 버리고 반드시 멸망할 일을 따른다.)’라고 하였으니 구례가 모두 똑같다.
王先謙:‘’는 ‘(따르다)’이고, ‘’은 本音(시행하다)으로 읽어야 뜻이 순조로우니 去聲으로 읽을 필요가 없다.


역주
역주1 [經一] : 저본에는 ‘經’자가 없으나, 아래의 說과 구분하기 위하여 보충하였다. 아래의 경우도 같다.
역주2 師曠 : 춘추시대 晉나라의 유명한 樂官으로, 字는 子野이다.
역주3 晏子 : 춘추시대 齊나라의 管仲과 함께 일컬어지는 賢相의 한 사람이다. 이름은 嬰이고, 자는 仲, 시호는 平이기 때문에 安平仲으로도 부른다. 齊 靈公‧莊公‧景公을 섬기면서 儉約한 생활을 실천하고 禮敎를 바로 세우려 노력하여 춘추시대를 대표하는 名宰相이 되었다. 後人들이 그의 행적과 諫議 등을 모아 ≪晏子春秋≫를 엮었다.

한비자집해(3)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