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5-83 曰 夫子嗜魚而不受者 何也
對曰 夫嗜魚 故不受也受魚 必有下人之色이요 有下人之色이면 將枉於法이요 枉於法이면 則免於相이라
雖嗜魚라도致我魚
○盧文弨曰 自給二字 張本無이라
顧廣圻曰 自 當作日이라
先愼曰 韓詩外傳淮南子 無致我二字 葢本書一本作自給하고 一本作致我하니 校者識於其下라가 刊時失刪하야 遂致兩有
顧氏不考而改自爲日이나 終不可讀이라 張榜本 無能自給三字하니 亦非


“형님이 물고기를 좋아하면서도 받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이오?”
공의휴公儀休가〉 대답하였다. “물고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받지 않는 것이다. 만약 물고기를 받으면 반드시 남에게 낮추는 기색을 가질 것이고, 남에게 낮추는 기색을 갖게 되면 법을 어길 것이고, 법을 어기게 되면 에서 면직될 것이다.
에서 면직되면 내가〉 비록 물고기를 좋아하더라도 이들은 꼭 나에게 물고기를 가져다주지 않을 것이고,
노문초盧文弨:‘자급自給’ 두 글자는 장본張本에 없다.
고광기顧廣圻:‘’는 ‘’이 되어야 한다.
왕선신王先愼:≪한시외전韓詩外傳≫과 ≪회남자淮南子≫에는 ‘치아致我’ 두 글자가 없다. 본서本書한비자韓非子≫의 어떤 본에는 ‘자급自給’으로, 어떤 본에는 ‘치아致我’로 되어 있는데, 교정자가 그 아래에 기록해두었다가 간행할 때 삭제하지 못해서 마침내 둘 다 있게 된 것이다.
고씨顧氏(고광기顧廣圻)가 살피지 못해 ‘’를 ‘’로 고쳤으나, 끝내 읽어낼 수 없다. 장방본張榜本에 ‘능자급能自給’ 세 글자가 없으니, 역시 잘못이다.


역주
역주1 : ‘以(때문이다)’의 뜻이다.
역주2 : ‘만약’의 뜻이다.
역주3 (不必)[必不]能(自給) : 저본에는 ‘不必能自給致我’로 되어 있으나, “王先愼이 ≪韓詩外傳≫과 ≪淮南子≫을 인용하며 ‘致我’를 삭제해야 한다고 한 句文은 이곳과 상응하지 않는다. 또한 ‘不必’은 ‘必不’의 도치로 보아야 하며, ‘不能致我魚’가 아래 구의 ‘不能自給魚’와 相當한다.”라고 한 ≪韓非子新校注≫ 陳奇猷의 說에 의거하여, ‘不必’은 ‘必不’로 바로잡고, ‘自給’은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