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71 庫不受甲兵이러라 居五日而城郭已治하고 守備已具
君召張孟談而問之曰 吾城郭已治하고 守備已具하며 錢粟已足하고 甲兵有餘 吾奈無箭何
張孟談曰 臣聞董子之治晉陽也 之垣 皆以荻蒿楛楚牆之하야
○顧廣圻曰 句絶이라 讀爲稾 作狄하고 作苦하니 皆同字
先愼曰 牆 事類賦十三御覽三百五十 引竝作廧하고 竝注云 音牆이라


무기고에는 갑옷과 무기를 더 받아놓을 곳이 없게 되었다. 5일이 지나자 성곽의 수리를 마쳤고 수비할 장비가 다 갖추어졌다.
주군이 장맹담을 불러 물었다. “우리의 성곽은 수리를 마쳤고 수비할 장비는 다 갖추어졌으며 돈과 곡식은 이미 풍족하고 갑옷과 무기도 넉넉하지만 우리에게 화살이 없으니 어쩌면 좋겠소?”
장맹담은 “신은 들으니 동자董子(동안우董閼宇)가 진양晉陽을 다스릴 때 관부官府의 담을 모두 갈대․쑥대․광대싸리[]․가시나무[]로 울타리를 둘러쳐서
고광기顧廣圻:여기서 를 끊어야 한다. ‘’는 ‘’로 읽어야 하고, ‘’은 ≪전국책戰國策≫ 〈조책趙策〉에 ‘’으로 되어 있고, ‘’는 ≪전국책≫ 〈조책〉에 ‘’로 되어 있으니 모두 같은 글자이다.
왕선신王先愼:‘’은 ≪사류부事類賦≫ 권13과 ≪태평어람太平御覽≫ 권350에 이 글을 인용하면서 모두 ‘’으로 되어 있고 그 에 모두 “은 ‘’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公宮 : 공무를 집행하는 집이라는 뜻으로, 官府로 번역하였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