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6-4 雍季對曰 焚林而田이면 偸取多獸 後必無獸니이다
○先愼曰 乾道本 無取字 必上有不字 顧廣圻云 今本 偸下有取字 無不字라하니라
先愼按 此皆四字句 有取字無不字 是也일새 改從今本하노라
呂氏春秋孝行覽義賞 作焚藪而田이면 豈不獲得이나 而明年無獸


옹계가 대답하였다. “수풀에 불을 질러 사냥을 하면 구차하게 많은 짐승을 잡을 수 있으나 훗날 반드시 〈남은〉 짐승이 없게 됩니다.
구주舊注:〈‘’는〉 구차하다는 뜻이다.
왕선신王先愼건도본乾道本에 ‘’자가 없고 ‘’자 위에 ‘’자가 있다. 고광기顧廣圻는 “금본今本에는 ‘’자 아래에 ‘’자가 있고 ‘’자가 없다.”라고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여기는 모두 네 글자로 이루어진 구문이니 ‘’자가 있고 ‘’자가 없는 것이 옳기 때문에 금본今本을 따라 고쳤다.
여씨춘추呂氏春秋≫ 〈효행람孝行覽 의상義賞〉에 “분수이전焚藪而田 기불획득豈不獲得 이명년무수而明年無獸(수풀에 불을 질러 사냥을 하면 어찌 〈짐승을〉 잡지 못하겠는가마는 이듬해에는 〈남은〉 짐승이 없게 된다.)”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苟且也 : 이는 원래 저본의 ‘偸’ 아래에 달려 있는 注이다. 번역상의 편의로 아래 글과 연결하여 이처럼 편집하였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