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2)

한비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91 吳救之하니 軍間三十里 雨十日 夜星이라
○顧廣圻曰 說苑指武篇云 雨十日十夜晴이라하니라 按星正字作夝이라
說文 雨而夜除星見也라하고 集韻 有夝晴暒三文이라
先愼曰 夝星이니 古文本通用星이라 毛詩 星言夙駕라하고 韓詩云 星者 精也라하니라 今晴字
漢書天文志孟康注 精明也라하고 韋昭注 淸朗也라하고 郭璞爾雅釋天注 雨止無雲也라하니
是暒夝精皆今之晴字 而詩作星 與本書同이니 明古文通用星字


나라가 구원하러 가니 두 군대의 거리가 30리였다. 비가 10일 동안 내리고 밤에 개었다.
顧廣圻:≪說苑≫ 〈指武篇〉에 “밤낮으로 열흘 동안 비가 내린 뒤에 그쳤다.[雨十日十夜晴]”라고 하였다. 살펴보건대 ‘’의 正字는 ‘’이다.
說文解字≫에 “비가 내리다가 밤에 그치자 별이 보인다.[雨而夜除星見也]”라고 하였고, ≪集韻≫에는 ‘’‧‘’‧‘’ 세 글자가 있다.
王先愼:‘’과 ‘’은 疊韻이니 古文에서 본래 ‘’과 통용이다. ≪毛詩≫ 〈鄘風 定之方中〉에 “별을 보고 일찍 멍에하다.[星言夙駕]”라고 하였고, ≪韓詩外傳≫에 “‘’이라는 것은 ‘精明(맑게 개다)’이다.”라고 하였다. ‘’은 지금의 ‘(개다)’자이다.
漢書≫ 〈天文志孟康에 “‘’은 ‘精明(맑고 환하다)’이다.”라고 하였고, 韋昭에 “‘’은 ‘淸朗’이다.”라고 하였고, ≪爾雅≫ 〈釋天郭璞에 “‘’은 비가 그쳐 구름이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은 모두 지금의 ‘’자와 같다. ≪毛詩≫의 ‘’자는 본서와 똑같은 뜻이니, 古文에 ‘’자를 통용한 것이 분명하다.


역주
역주1 疊韻 : 두 글자나 몇 개 글자의 韻母가 서로 같은 것이다.

한비자집해(2) 책은 2021.01.1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