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1)

한비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23 當塗之人 乘五勝之資하야 而旦暮獨說於前이니라
法術之士 旣不得見이라 故當塗之人 獨訟而稱寃이라
○先愼曰 案依注所據本 作訟이라 故云 獨訟而稱寃이라하니 此解非也
古通誦이니 猶說也 史記呂后紀 未敢訟言攻之라하니 漢書 作誦言이라하고 索隱云 誦 說也라하니라
此謂當塗之人 獨常常與君言說이로되 而法術之士 見且猶不得亟이어든 況得與言乎
此旦暮獨訟於前 反對法術之士言이니 舊注誤


요직에 있는 중인은 이 다섯 가지 이길 수 있는 밑천을 업고 아침저녁으로 홀로 군주 앞에 나아가 의견을 말한다.
구주舊注:법술에 정통한 선비가 군주를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요직에 있는 중인이 홀로 군주에게 하소연하고 억울함을 일컫는다.
왕선신王先愼:살펴보건대, 구주舊注가 근거로 한 판본에 ‘’은 ‘’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독송이칭원獨訟而稱寃’이라고 하였는데, 이 해석은 틀렸다.
’은 옛날에 ‘’과 통용하였으니, ‘’은 ‘’과 같다. ≪사기史記≫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에 “미감송언공지未敢訟言攻之(감히 공격하라고 말하지 못했다.)”라 하였는데, ≪한서漢書≫에 ‘송언誦言’으로 되어 있고, ≪사기색은史記索隱≫에 “‘’은 ‘’이다.” 하였다.
이 구절은 요직에 있는 중인이 홀로 늘 군주에게 의견을 말하는 반면, 법술에 정통한 선비는 만나는 것도 자주 얻기 어려운데, 더욱이 군주에게 의견을 말할 수 있겠는가.
이 ‘단모독설어전旦暮獨說於前’은 법술에 정통한 선비의 말을 반대하는 것이니, 구주舊注는 틀렸다.



한비자집해(1) 책은 2019.10.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