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韓非子集解(4)

한비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한비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9-50 奚爲見寡人而夢見竈乎 侏儒曰 夫日兼照天下하야 一物不能當也 人君兼照一國하야 一人不能壅也니이다 故將見人主而夢日也니이다
夫竈 一人煬焉하면 則後人無從見矣니이다 或者一人煬君邪잇가 則臣雖夢竈라도 不亦可乎잇가
公曰 善이라하고 遂去하고 退彌子瑕하며 而用하다
○顧廣圻曰 雍鉏 趙策 作雍疽
先愼曰 孟子衛策 作癰疽하고 說苑至公篇 作雍雎라하니 皆音近通借


어째서 과인寡人을 만날 징조로 꿈에 아궁이를 보았다는 것인가?” 난쟁이가 대답하였다. “무릇 태양은 천하를 모두 비추는 것이어서 하나의 물건으로 가릴 수 없고, 군주는 온 나라를 모두 비추어서 한 사람이 〈군주의 밝음을〉 가리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장차 군주를 뵐 때에는 꿈에 태양을 보는 것입니다.
무릇 아궁이는 한 사람이 불을 쬐면 뒤에 있는 사람이 〈그 불을〉 볼 수가 없습니다. 어떤 한 사람이 군주 앞에서 불을 쬐고 있는 것입니까? 그렇다면 이 꿈에서 아궁이를 보았더라도 또한 옳지 않겠습니까.”
영공靈公이 “훌륭하다.” 말하고, 마침내 옹서雍鉏를 없애고 미자하彌子瑕를 물리쳤으며 사공구司空狗를 등용하였다.
고광기顧廣圻:‘옹서雍鉏’는 ≪전국책戰國策≫ 〈조책趙策〉에 ‘옹저雍疽’로 되어 있다.
왕선신王先愼:≪맹자孟子≫ 〈만장萬章 〉과 ≪전국책戰國策≫ 〈위책衛策〉에 ‘옹저癰疽’로 되어 있고, ≪설원說苑≫ 〈지공편至公篇〉에 ‘옹저雍雎’로 되어 있으니, 이는 모두 소리가 비슷해서 서로 빌려 쓰는 글자들이다.


역주
역주1 雍鉏 : 衛 靈公의 총애를 받았던 환관이다.
역주2 司空狗 : 魏나라 대부로 史朝의 아들 史狗를 가리킨다.

한비자집해(4)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