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48 行而俯項 非擊戾也
擊戾 謂項曲戾不能仰者也
擊戾 猶言了戾也
○ 盧文弨曰 案方言三 軫 戾也 郭注云 相了戾也라하니 與此正同이라
此書宋本世德堂本 皆作了戾
元刻訛作孑戾 形尙相近이어늘 至俗間本하여는 竟改作乖戾하니 謬之甚矣
了戾乃屈曲之意 豈可云乖戾乎
王念孫曰 淮南主術篇曰 木擊折轊하고 水戾破舟라하고
又曰 文武備具하여 動靜中儀하고 舉動廢置 曲得其宜하여 無所擊戾하고 無不畢宜라하니라
然則擊戾者 謂有所抵觸也
行而俯項 非擊戾也者 謂非懼其有所抵觸而俯項以避之也 與上下文同一例
楊說失之
俞樾曰 擊戾者 拂戾也
考工記弓人和弓毄摩 鄭注曰 毄 拂也라하니 擊與毄通이라
鷹偫電毄이라하니 毄即擊字也
先謙案王說是


길을 걸을 적에 목을 숙이는 것은 무엇에 부딪칠까 염려해서가 아니고,
양경주楊倞注 : ‘격려擊戾’는 목이 굽어져 위로 쳐들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격려擊戾는 〈또 물건이 구부러지거나 엉키어 똑바로 펼 수 없는 모양이라는 뜻의〉 ‘요려了戾’라고 말한 것과 같다.
노문초盧文弨 : 살펴보건대, 《방언方言》 권3 “‘’은 ‘(어그러지다)’이다.”의 곽박郭璞 주에 “서로 비틀어진 것이다.[相了戾也]”라고 하였으니, 이곳과 정확하게 같다.
이 책과 송본宋本세덕당본世德堂本은 모두 ‘요려了戾’로 되어 있다.
원각본元刻本에는 ‘혈려孑戾’로 잘못되어 있으나 모양은 오히려 비슷한데 세간의 판본에는 그만 ‘괴려乖戾’로 바뀌어져 있으니, 오류의 정도가 심하다.
요려了戾’는 곧 구부러졌다는 뜻인데 어찌 〈어긋났다는 뜻인〉 ‘괴려乖戾’라 말할 수 있겠는가.
왕염손王念孫 : 《회남자淮南子》 〈주술편主術篇〉에 “목격절세木擊折轊 수려파주水戾破舟(나뭇등걸에 부딪치면 수레의 굴대가 부러지고 여울물이 세차게 돌면 배가 부서진다.)”라고 하고,
또 “문무겸전文武兼全하여 동정動靜이 법도에 부합하고 행하고 중지하는 일이 그 상황에 들어맞아 막히거나 곤란을 당하는 것이 없음으로써[無所擊戾] 모든 것이 완전하지 않은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격려擊戾’란 부딪치는 것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행이부항行而俯項 비격려야非擊戾也’란 무엇에 머리를 부딪치는 일이 있을까 두려워 목을 숙여 피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한 것이니, 위아래 글과 동일한 형식이다.
양경楊倞의 설은 잘못되었다.
유월俞樾 : ‘격려擊戾’란 〈거역이라는 뜻의〉 ‘拂戾’이다.
《周禮》 〈考工記 弓人〉의 “和弓毄摩(활의 강도를 시험해보고 먼지를 털어 제거하며 벌어진 흠집이 있는지를 만지면서 살펴본다.)”라고 한 곳에서 鄭玄의 주에 “‘毄’은 ‘拂(털다)’자의 뜻이다.”라고 하였는데, ‘擊’과 ‘毄’은 통용한다.
선겸안先謙案 : 왕씨王氏의 설이 옳다.


역주
역주1 郭仲奇碑 : 宋나라 洪适이 편찬한 《隷釋》 권9의 〈北軍中候郭仲奇碑〉를 말한다.
역주2 ‘擊戾’란……‘擊’자이다 : ‘擊’자에 ‘거역하다’‧‘털다’‧‘내리치다’라는 몇 가지 유사한 의미의 관련 용례를 열거하여 擊자가 ‘拂’‧‘毄’과 통용한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