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65 是非知能材性然也 是注錯習俗之異也니라
習俗 謂所習風俗이라
○ 盧文弨曰 注制下之字 宋本有하고 元刻無
王念孫曰 習俗 雙聲字
俗即是習이니 非謂所習風俗也
說文 習也라하고注+廣雅同이라 周官大司徒注曰 俗 謂土地所生習也라하니라
性惡篇曰 上不循於亂世之君하고 下不俗於亂世之民이라하니 不俗 不習也注+楊注 謂從其俗이라하니 亦誤
又儒效篇習俗移志하고 安久移質注+餘見前注錯下 大略篇曰 政敎習俗 相順而後行
史記秦始皇紀宣省習俗 漢書食貨志同巧拙而合習俗 習俗二字 皆上下平列이라
先謙案 節異 猶言適異也
節與適同義 說見彊國篇이라


이는 지혜와 재능, 자질과 본성이 그들을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니라, 곧 행동거지와 관습을 적절하게 하는 것이 달랐기 때문이다.
양경주楊倞注 : ‘습속習俗’은 익힌 풍속을 이른다.
’은 제한이란 뜻이다.
노문초盧文弨 : 양씨楊氏 주의 ‘’ 아래 ‘’자는 송본宋本에는 있고 원각본元刻本에는 없다.
왕염손王念孫 : ‘’과 ‘’은 쌍성雙聲 글자이다.
’이 곧 ‘’이니 익힌 풍속을 말한 것은 아니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은 ‘’자의 뜻이다.”라고 하고,注+광아廣雅》와 같다.주례周禮》 〈주관周官 대사도大司徒〉의 주에 “‘’은 토지에서 생활하며 익히는 것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성악편性惡篇〉에 “상불순어란세지군上不循於亂世之君 하불속어난세지민下不俗於亂世之民(위로는 난세의 군주를 따르지 않고 아래로는 난세의 백성과 어울리지 않는다.)”이라고 하였으니, ‘불속不俗’은 익히지 않는다는 뜻이다.注+양씨楊氏의 주에 “‘’은 그 풍속을 따르는 것을 이른다.”고 하였으니, 이 또한 잘못이다.
또 〈유효편儒效篇〉의 “습속이지習俗移志 안구이질安久移質(풍속관습이 사람의 생각을 바꾸고, 관습에 안주하는 시간이 길면 사람의 본질이 바뀐다.)”과,注+나머지는 앞 주의 ‘’ 아래에 보인다.대략편大略篇〉의 “정교습속政敎習俗 상순이후행相順而後行(정치교화와 풍속관습이 서로 적응한 뒤에 비로소 실행할 수 있다.)”과,
사기史記》 〈진시황기秦始皇紀〉의 “선성습속宣省習俗(습속을 살펴보다.)”과,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의 “동교졸이합습속同巧拙而合習俗(기능이 뛰어나거나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함께 어울리게 하여 습속이 서로 합치되게 한다.)”이라고 한 ‘습속習俗’ 두 자는 모두 〈같은 뜻의 글자가〉 위아래로 나란히 배열된 것이다.
선겸안先謙案 : ‘절이節異’는 적절하게 하는 것이 다르다는 뜻의 ‘적이適異’라는 말과 같으니, 조절하고 제한하는 것을 말한 것은 아니다.
’은 ‘’과 같은 뜻이니, 그에 관한 설명은 〈강국편彊國篇〉에 보인다.


역주
역주1 : ‘適(알맞다)’자와 같다는 王先謙의 설을 따라 번역하였다.
역주2 節 限制之也 : ‘之’자는 盧文弨가 元刻本에는 들어 있지 않다고 했는데, 이럴 경우 ‘節限制也’가 되고, ‘限制’는 ‘節’자를 풀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역주3 非謂節限制之 : ‘節限制之’는 위 楊倞 주의 문구이다. 王先謙은 이것을 ‘조절하고 제한을 한다.’는 뜻으로 오해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은 王先謙의 뜻에 따랐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