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96 和齊百姓하여 使人不偸之事也
將率 猶主領也 若今宰守
○兪樾曰 此言足天下之道 前後皆言農事어늘 而此云是將率之事 楊注曲爲之說하니 未爲得也
蓋古之爲將率者 其平時卽之官이라 周官州長職 若國作民而師田行役之事 則帥而致之하고 掌其戒令與其賞罰
鄭注曰 掌其戒令賞罰이면 則是於軍因爲師帥라하고 賈疏曰 云因爲師帥者 若衆屬軍吏 別有軍吏掌之어늘 何得還自掌之리오
故知因爲師帥也 但在鄕爲州長하여 已管其民이라가 在軍還領己民爲 卽是因內政寄軍令也라하니라
又黨正職注曰 亦於軍因爲라하고 族師職注曰 亦以軍因爲卒長이라하니 以是推之컨대 이라
夏官序官疏曰 閭胥以下 雖不言因爲 義可知라하니 是也 此云將率 卽指州長黨正之屬이라
從其在軍之名而稱之曰將率 正見內政軍令之可通이라 楊注未達斯旨


백성들을 화합하게 하고 통일시켜 그들로 하여금 게으름을 피우지 않도록 하는 것은 장수將率()의 일이다.
양경주楊倞注장수將率는 주관하고 영도한다는 뜻과 같은 것으로, 지금의 지방수령과 같다.
유월兪樾:여기서는 온 천하가 풍족해지는 방법을 말한 것이다. 앞뒤가 모두 농사에 관해 말한 내용인데, 여기서 ‘장수將率의 일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에 대해 양씨楊氏의 주는 왜곡되게 설명하였으니, 옳지 않다.
대체로 옛날에 장수가 된 자는 평상시에는 주장州長이나 당정黨正이었다. ≪주례周禮≫ 〈주장직州長職〉에 “약국작민이사전행역지사 즉수이치지 장기계령여기상벌若國作民而師田行役之事 則帥而致之 掌其戒令與其賞罰(만약 국가가 백성들을 징집하여 정벌, 사냥, 순행, 노역 등 일에 참가시키게 할 때에는 〈각 고을 수령이〉 자기 고을의 백성을 인솔하여 〈소사도小司徒에게〉 인도해주고 〈징집된 자기 고을 백성에 대한〉 통제 명령과 상벌을 관장한다.)”이라고 한 곳의
정현鄭玄 주에 “군대의 통제 명령과 상벌을 관장한다면 이는 군영에서 〈지방수령이〉 그대로 사수師帥가 되는 것이다.”라 하였고, 가공언賈公彦에 “〈지방수령이〉 그대로 사수師帥가 된다는 말은, 만약 민중이 군관에게 소속된다면 따로 군관이 있어 그들을 관장할 것인데 왜 그가 도로 관장한단 말인가.
이 때문에 그가 그대로 사수師帥가 된다는 것은 평상시 고을에 있을 때는 주장州長이 되어 이미 그 백성들을 관리하고 있다가 군대에 있을 때는 도로 자기의 백성들을 통솔하여 사수師帥가 된다는 것을 알겠으니, 이는 곧 고을 안의 행정이 군법에 붙여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또 ≪주례周禮≫ 〈당정직黨正職〉의 주에 “그가 또 군대에서는 그대로 여수旅帥가 된다.”라 하고, ≪주례周禮≫ 〈족사직族師職〉의 주에 “그가 또 군대의 일로 인해 그대로 졸장卒長이 된다.”라고 하였으니, 이로 미루어보건대 여서閭胥는 곧 양사마兩司馬가 되고 비장比長은 곧 오장伍長이 되는 것이다.
주례周禮≫ 〈하관 서관夏官 序官〉의 에 “여서閭胥 이하에 대해서는 비록 〈그가 군대에서는〉 그대로 무엇이 된다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뜻을 추리해보면 알 수 있다.”라고 하였으니, 이 〈장수將率도 그와 같은〉 경우이다. 여기에 ‘장수將率’라고 말한 것은 곧 주장州長당정黨正 등을 가리킨다.
그가 군대에 있을 때의 명칭에 따라 ‘장수將率’라 한 것이니, 곧 고을 안의 행정과 군법이 융통성 있게 운영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양씨楊氏의 주는 이와 같은 뜻을 알지 못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將率(수) : 將帥와 같다.
역주2 州長黨正 : 모두 지방의 수령이다. 周나라 때 민가의 편제에 1州는 2,500호이고, 1黨은 500호였다.
역주3 師帥 : 군대의 관직명으로, 군사 1師를 통솔하는 장수이다. 1師는 2,500인이다.
역주4 旅帥 : 군대의 관직명으로, 군사 1旅를 통솔하는 장수이다. 1旅는 500인이다.
역주5 閭胥卽爲兩司馬 比長卽爲伍長 : 閭胥와 比長은 고을의 말단관리이고, 兩司馬와 伍長은 군대의 말단군관이다. 같은 사람이 평상시에는 고을의 행정을 담당하고 있다가 유사시에는 군관이 되어 군사들을 지휘 통솔한다는 말이다. 閭와 比는 민가 수의 단위로, 閭는 25호이고 比는 5호이다. 兩司馬는 사병 25인을 관리하고, 伍長은 사병 5인을 관리한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