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81 彼臭之而嗛於鼻하고
嗛當爲慊이니 厭也
苦廉反이라
或下忝反이라
○ 盧文弨曰 案下忝 元刻作胡簟이라
郝懿行曰 臭 今作嗅
不足也 與歉同이라
言嗅之而無歉於鼻 與嘗之而甘於口句相儷
王念孫曰 臭之而無嗛於鼻 衍字也
苦簟反이니 快也注+莊子盜跖篇曰 口嗛於芻豢醪醴之味라하고 趙策曰 衣服之便於體 膳啗之嗛於口라하고 魏策曰 齊桓公夜半不嗛하니 易牙乃煎熬燔炙하여 和調五味而進之라한대 高注 快也라하니라
臭之而嗛於鼻하고 嘗之而甘於口하고 食之而安於體三句 文同一例
若嗛上有無字 則與下文不合矣
楊讀嗛爲慊而訓爲厭하니 失之
이라
先謙案 王說較長이라


그들이 그 냄새를 맡았을 때 코끝이 흡족하고,
양경주楊倞注 :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혹은 반절反切이 되기도 한다.
노문초盧文弨 : 살펴보건대, 양씨楊氏 주의 ‘하첨下忝’이 원각본元刻本에는 ‘호점胡簟’으로 되어 있다.
학의행郝懿行 : ‘’는 지금은 ‘’자로 쓴다.
’은 부족하다는 뜻이니, ‘(부족하다)’자와 같다.
‘그 냄새를 맡았을 때 코에 부족함이 없다[嗅之而無歉於鼻]’고 한 말은 ‘그것을 맛보았을 때 입안이 감미롭다[嘗之而甘於口]’는 문구와 서로 짝을 이룬다.
왕염손王念孫 : ‘취지이무겸어비臭之而無嗛於鼻’의 ‘’자는 잘못 덧붙여진 글자이다.
’의 음은 반절反切로, 유쾌하다는 뜻이다.注+장자莊子》 〈도척편盜跖篇〉에 “구겸어추환요례지미口嗛於芻豢醪醴之味(입으로는 고기와 맛있는 술의 감칠맛을 맛보려 한다.)”라고 하였으며, 《전국책戰國策》 〈조책趙策〉에 “의복지편어체衣服之便於體 선담지겸어구膳啗之嗛於口(의복은 몸에 편하게 해주고 음식은 입맛에 맞게 해줬다.)”라고 하고, 〈위책魏策〉에 “제환공야반불겸齊桓公夜半不嗛 역아내전오번자易牙乃煎熬燔炙 화조오미이진지和調五味而進之(齊 환공桓公이 밤중에 배가 고팠는데 역아易牙가 먹을거리를 삶고 볶고 구운 것에다가 다섯 가지 맛으로 조리하여 바쳤다.)”라고 하였는데, 고유高誘 주에 “‘’은 ‘(쾌하다)’자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취지이겸어비臭之而嗛於鼻 상지이감어구嘗之而甘於口 식지이안어체食之而安於體’ 세 문구는 글이 동일한 형식이다.
만약 ‘’ 위에 ‘’자가 있으면 아래 글과 맞지 않는다.
양씨楊氏는 ‘’을 ‘’으로 읽어 식욕이 부진하다는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잘못되었다.
왕씨汪氏의 설도 〈왕염손王念孫의 설과〉 같다.
선겸안先謙案 : 왕씨王氏의 설이 비교적 더 우세하다.


역주
역주1 臭 許又反 : 許又反은 음이 ‘후’라는 것으로, ‘臭’를 ‘嗅(냄새 맡다)’자로 읽어야 한다는 뜻이다.
역주2 汪說同 : 이 문구는 王先謙이 한 말이다. 汪은 汪中(1744~1794)을 가리킨다. 淸 江蘇 江都 사람으로, 자는 容甫이다. 어릴 적에 가난하여 책가게를 돌아다니면서 經史 百家 서적을 빌려보았는데, 한번 보면 암기하였다. 經學에 치중하여 당대의 대가가 되었으며 같은 고장의 王念孫‧劉台拱과 교제하였다.
역주3 嗛은……뜻이다 : ‘慊’자는 ‘부족하다’와 ‘흡족하다’의 정반대 뜻을 함께 지닌 글자이고, ‘厭’자도 ‘싫다’와 ‘흡족하다’의 반대되는 뜻을 함께 지닌 글자이다. 그런데 楊倞이 접해 본 판본에는 본디 ‘嗛’자 위에 부정사인 ‘無’자가 더 있었기 때문에 ‘嗛’자를 부족하다는 뜻으로 풀이한 것이다. 아래에서 王念孫이 楊倞의 풀이가 틀렸다고 말한 것은 본문에 ‘無’자가 없다는 전제하에 한 말로 보인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