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6)

순자집해(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44 夫好利而欲得者 此人之情性也 財而分者 且順情性하여 好利而欲得이면 若是則兄弟相拂奪矣어니와
違戾也 或曰 拂字 從木旁弗이니 擊也 方言云 自關而西謂之柫이라하니 今之農器連枷也라하니라 發辭也
○盧文弨曰 拂奪 宋本作怫奪하니 注同이라
俞樾曰 楊注違戾之訓 旣得之矣 讀拂爲柫이면 義轉迂曲이라
說文 過擊也라하니 拂自可訓擊이라 何必改爲柫乎 柫者 農器也 施之於此 非所安矣
又案 說文色部 라하니 此拂字 疑艴之叚音이라 言兄弟必艴然爭奪也
先謙案 據下文言讓乎國人하면 則非兄弟分財之謂明이라 弟兄二字 衍文也
有資財而分할새 順情性則兄弟相奪하고 化禮義則讓乎國人이라야 文義正相對待 若兄弟分財而讓及國人 非情理所有矣
弟兄二字 乃淺人緣下文兄弟相拂奪妄加之


대체로 재리財利를 좋아하고 그것을 얻고자 하는 것은 곧 사람의 성정性情이다. 예를 들어 재물을 취해 나누는 일이 있다고 할 때 만약 성정性情을 따라 재리財利를 좋아하고 그것을 얻고자 한다면 형제간에도 서로 성을 내며 쟁탈하겠지만
양경주楊倞注은 어기고 거스른다는 뜻이다. 혹자는 “‘’자는 형부形符에 ‘’을 붙인 것이니, 때린다는 뜻이다. ≪방언方言≫에 ‘함곡관函谷關 서쪽 지방에서는 〈을〉 ‘’이라 이른다.’ 하였으니, 지금의 농기구인 도리깨이다.”라 하였다. 발어사發語辭이다.
노문초盧文弨불탈拂奪송본宋本에 ‘불탈怫奪’로 되어 있고 〈양경楊倞의〉 주도 그와 같이 되어 있다.
유월俞樾양씨楊氏 주의 ‘위려違戾(어기고 거스르다)’라는 뜻풀이는 이미 제대로 된 것이다. ‘’을 ‘’로 읽는다면 뜻이 도리어 왜곡되어버린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의 뜻은 지나가면서 때린다는 뜻이다.”라 하였으니, ‘’이 절로 때린다는 뜻이 될 수 있다. 어찌 굳이 고쳐 ‘’로 만들 게 있겠는가. 이란 농기구이다. 그것을 여기에다 쓴다면 걸맞지 않다.
또 살펴보건대, ≪설문해자≫ 〈색부色部〉에 “의 뜻은 성을 내는 기색이다.”라 하였으니, 이 ‘’자는 아마도 ‘’의 가차음假借音일 것이다. 이것은 형제가 반드시 성을 내며 쟁탈할 것이라는 것을 말한다.
선겸안先謙案:아랫글에 “국내의 다른 사람에게도 양보할 것이다.”를 근거로 보면 형제간에 재물을 나누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하다. ‘제형弟兄’ 두 자는 잘못 덧붙여진 글이다.
‘재물을 취해 나누는 일이 있을 때 성정性情을 따르면 형제간에도 서로 쟁탈하고 예의禮義로 교화되면 국내의 다른 사람에게도 양보한다.’고 하여야 글 뜻이 정확히 서로 대를 이룬다. 만약 형제가 재물을 나누면서 국내의 다른 사람에게 그것을 양보한다면 이는 인정과 도리로 볼 때 있을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제형弟兄’ 두 자는 곧 식견이 얕은 사람이 아랫글 ‘형제살불탈兄弟相拂奪’로 인해 함부로 추가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假之 : 假若과 같은 것으로, ‘만약’의 뜻이다.
역주2 (弟兄) : 저본에는 ‘弟兄’이 있으나, 王先謙의 주에 의거하여 잘못 덧붙여진 것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 : ‘취한다’는 뜻이다.
역주4 (慍艴)[艴慍] : 저본에는 ‘慍艴’로 되어 있으나, ≪諸子平議≫와 ≪說文解字注≫에 의거하여 ‘艴慍’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慍艴)[艴慍]怒色也 : ≪說文解字≫ 〈色部〉의 ‘艴’자에는 “色艴如也 从色弗聲 論語色艴如也(〈艴은〉 色이 변한 것 같다는 뜻이다. 色은 形符가 되고 弗은 聲符가 된다. ≪論語≫ 〈鄕黨〉에 ‘色艴如也(≪논어≫에는 艴이 勃로 되어 있음)’’라 하였다.)”라고 하였고, 이에 대한 段玉裁의 ≪說文解字注≫에 “色艴如也는 살펴보건대 마땅히 ‘艴怒色也(艴은 노한 기색이다)’로 되어야 한다. ≪孟子≫ 〈公孫丑 上〉의 ‘曾西艴然不悦(曾西가 성을 발칵 내어 언짢아하였다.)’이라고 한 곳의 趙岐 주에 ‘艴 慍怒色也(艴은 노한 기색이다.)’라 하였다.[色艴如也 按此當作艴怒色也 孟子曾西艴然不悅 趙曰 艴 慍怒色也]”라고 하였다. 따라서 俞樾이 인용한 ‘艴 慍怒色也’는 ≪설문해자≫가 아니라 단옥재의 ≪설문해자주≫에서 인용한 ≪맹자≫의 조기 주이며, 조기의 주에는 “艴然 慍怒色也”로 되어 있다.

순자집해(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