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166 因以羣別親疎貴賤之節하여 而不可益損也 故曰 無適不易之術也라하니라
羣別 謂羣而有別也 往也 無往不易 言所至皆不可易此術이라 或曰 適 讀爲敵이라하니라
○謝本 從盧校하여 作不是
郝懿行曰 依注 當爲易이니 轉寫之譌 或曰 適讀爲敵 亦通이라
先謙案 各本譌是어늘 據宋台州本正作易이라


이로 인해 동족과 개인, 친근한 자와 소원한 자, 존귀한 자와 미천한 자들 사이에 〈상복을 입는 기간에 관한〉 제도를 정돈하여 임의로 더하거나 줄일 수 없다. 그러므로 어떤 경우를 막론하고 바꿀 수 없는 원칙이라고 말한다.
楊倞注群別은 무리를 지었더라도 구별이 있는 것을 이른다. 은 간다는 뜻이다. 無往不易은 어떤 경우에 이르던 모두 이 원칙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혹자는 “은 ‘(필적하다)’으로 읽어야 한다.”라 하였다.
謝本盧校本에 따라 〈不易이〉 ‘不是’로 되어 있다.
郝懿行:〈楊氏의〉 주에 의하면 는 마땅히 ‘’으로 되어야 하니, 옮겨 쓰는 과정에 잘못된 것이다. 〈楊氏의 주에서〉 혹자가 ‘은 ’‘으로 읽어야 한다.’고 한 것도 일리가 있다.
先謙案:각 판본에는 〈이〉 ‘’로 잘못되었는데, 台州本에 의거하여 바르게 ‘’으로 바꿨다.


역주
역주1 : ‘飭’과 통용한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