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88 故君子之度己則以繩하고 接人則用하니라
牽引也
度己 猶正己也
君子正己則以繩墨하고 接人則牽引而致之 言正己而馴致人也
或曰 抴當爲枻 楫也
言如以楫櫂進舟船也라하니라
大各反이라
以世反이라
韓侍郞云 枻者 檠枻也 正弓弩之器也라하니라
○ 盧文弨曰 舊本抴枻多訛하니 今悉改正하니라
韓說本考工記
郝懿行曰 抴 余制切이니 與曳音義俱同이라
言君子裁度己身則以準繩하고 接引人倫則用舟楫하니 謂律己嚴而容物寬也
楚辭九歌 桂擢兮蘭抴 王逸注 擢 楫也
船旁板也라하고 段氏玉裁說文注云 按毛詩傳 所以擢舟也
故因謂楫爲擢
擢者 引也 船旁板曳於水中이라 故因謂之抴
俗字作櫂作枻하니 皆非是也라하니라
劉台拱曰 韓說是也
淮南說山訓曰 㯳不正而可以正弓이라하니 此即用枻之義注+㯳同檠이라
王念孫曰 案考工記弓人 恒角而達이면 譬如終紲 鄭注曰 紲 弓䪐也라하고
秦風小戎篇 竹閉緄縢 毛傳曰 閉 紲也라하고
小雅角弓傳曰 不善紲檠巧用이면 則翩然而反이라하고 弓有柲 注曰 柲 弓檠이라
弛則縛之於弓裏하니 備損傷也
以竹爲之라하니라
紲與枻同하고 閉與柲䪐同하니 即淮南所謂可以正弓者也
與繩對文이니 若訓爲牽引이면 則與繩不對 若訓爲楫이면 則於義愈遠矣리라


그러므로 군자가 자신을 바로잡는 것은 목수가 먹줄을 놓듯이 하고, 남을 대하는 것은 사공이 배를 젓듯이 한다.
양경주楊倞注 : ‘’는 끌어당긴다는 뜻이다.
도기度己’는 자기 몸을 바로잡는다는 뜻의 ‘정기正己’와 같다.
군자가 자기 몸을 바로잡는 것은 먹줄을 놓듯이 하고, 다른 사람을 대할 때는 이끌어 바른 길로 가게 한다는 것으로, 자기 몸을 바르게 한 뒤에 남을 이끌어주는 것을 말한다.
어떤 사람은 “‘’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하니, ‘’는 노이다.
마치 노를 저어 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한시랑韓侍郞은 “‘’는 도지개이니, 활을 바로잡는 기구이다.”라고 하였다.
노문초盧文弨 : 옛 판본에는 ‘’와 ‘’가 잘못 혼용된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모두 고쳐 바로잡았다.
도지개도지개
한씨韓氏의 설은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에 근거한 것이다.
학의행郝懿行 : ‘’의 음은 반절反切이니, ‘’와 음과 뜻이 모두 같다.
’는 곧 ‘’자이니, ‘’는 속자에서 ‘’로 쓴다.
군자가 자기 몸을 바로잡는 것은 수준기와 먹줄로 맞추듯이 하고, 남들을 이끌어줄 때는 노로 배를 저어 앞으로 나아가듯이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니, 자신을 단속하는 것은 엄격히 하고 남들을 포용하는 것은 너그럽게 하는 것을 이른다.
초사楚辭》 〈구가九歌〉의 “계탁혜란설桂擢兮蘭抴(桂木의 노와 난목蘭木의 뱃전으로)”에서 왕일王逸의 주에 “‘’는 노이다.
’는 뱃전의 판목이다.”라고 하고, 단옥재段玉裁의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에 “《모시전毛詩傳》을 살펴보면 ‘’은 배를 끌어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을 ‘’라 이른다.
’는 이끈다는 뜻이니, 뱃전의 판목을 물속에서 끌어당기기 때문에 이것을 ‘’라 이른다.
속자는 ‘’로 쓰거나 ‘’로 쓰기도 하니, 이는 모두 옳지 않다.”라고 하였다.
유태공劉台拱 : 한씨韓氏의 설이 옳다.
회남자淮南子》 〈설산훈說山訓〉에 “㯳不正而可以正弓(도지개는 형체가 바르지 않지만 뒤틀린 활을 바로잡는다.)”이라고 하였으니, 여기서는 곧 도지개[枻]를 사용한다는 뜻이다.注+‘㯳’은 ‘’과 같다.
왕염손王念孫 : 살펴보건대,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 궁인弓人〉의 “항각이달恒角而達 비여종설譬如終紲(활 중앙에 휘어진 부분의 길이가 너무 길면 마치 끈으로 도지개에다가 활을 계속 잡아매두는 것과 같다.)”에서 정씨鄭氏의 주에 “‘’은 활 도지개이다.”라고 하고,
시경詩經》 〈진풍秦風 소융편小戎篇〉의 “죽폐곤등竹閉緄縢(대나무 도지개를 끈으로 묶었다네.)”에서 《모전毛傳》에 “‘’는 도지개[紲]이다.”라고 하고,
소아小雅 각궁角弓〉의 《모전毛傳》에 “불선설경교용不善紲檠巧用 즉편연이반則翩然而反(도지개를 요령 있게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활이 훌렁 뒤집어진다.)”이라고 하고, 《의례儀禮》 〈기석旣夕〉의 “궁유비弓有柲(활에는 도지개가 있다.)”에서 정현鄭玄의 주에 “‘’는 활 도지개이다.
활시위가 느슨해지면 그것을 활의 안쪽에 잡아매는 것이니, 활이 손상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대나무로 만든다.”라고 하였다.
’은 ‘’과 같고 ‘’는 ‘’, ‘䪐’와 같으니, 곧 《회남자淮南子》의 이른바, 뒤틀린 활을 바로잡는다고 한 그것이다.
’은 ‘’과 대구인데, 만약 끌어당긴다는 뜻으로 한다면 ‘’자와 대가 되지 않고, 만약 배의 노라는 뜻으로 한다면 본뜻과 더욱 멀어질 것이다.


역주
역주1 抴(예) : 배를 젓는 노의 뜻일 경우 그 음이 ‘예’이고, 휘어진 활을 똑바로 바로잡을 때 사용하는 도구인 도지개의 뜻일 경우에는 그 음이 ‘설’이다. 아래 글에 “接人用抴 故能寬容(남을 대하는 것은 사공이 배를 젓는 것처럼 하기 때문에 능히 너그럽게 포용할 수 있다.)”이라고 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楊倞의 주에 인용된 혹자의 설과 集解의 郝懿行의 설을 따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王天海도 그 설에 동의하였다.
역주2 抴即枻字 枻俗作也 : ‘抴’자는 손수변(扌)의 曳, 곧 ‘拽’와 음과 뜻이 같고, ‘枻’자는 속자에서 나무목변(木)의 也, 곧 ‘杝’로 쓴다는 것이다.
역주3 士喪禮記 : 〈士喪禮〉는 잘못이다. ‘弓有柲’와 이에 대한 鄭玄의 주는 《禮記》 〈旣夕〉에 나온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