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95 反無之節하며之服하고이라 各反其平하고 各復其始하여
○王引之曰 平字 文義不明이라 當爲本이니 字之誤也 亦始也注+呂氏春秋孝行篇注 始也라하고 晉語注 本根也라하니라 反其本 卽復其始 復其始 謂若無喪時也
又曰 平字不誤 下文曰 久而平 楊注 久則哀殺如平常也라하니 是其證이라 前謂平當爲本 失之


집에 돌아와서도 哭泣하는 예절이 없으며 衰麻喪服 제도가 없고 〈喪服을 입는 기간에는〉 親疏 관계와 달수의 차등이 없다. 각자 모두 그들의 평소 상황으로 돌아가고 각자 모두 그들의 처음 상태를 회복하여
王引之:‘’자는 글 뜻이 분명치 않다. ‘’은 마땅히 ‘’이 되어야 하니 글자의 오류이다. 은 또한 ‘’의 뜻이다.注+呂氏春秋≫ 〈孝行篇〉의 주에 “은 시작이라는 뜻이다.”라 하고, ≪國語≫ 〈晉語〉의 주에 “는 근본 뿌리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그들의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곧 그들의 처음 상태를 회복한다는 뜻이다. 그들의 처음 상태를 회복한다는 것은 喪事가 없는 때와 같은 것을 말한다.
王引之:‘’자는 잘못되지 않았다. 아랫글(19-111)의 “久而平(시간이 오래되면 〈감정이〉 평상시와 같아진다.)”이라고 한 곳의 楊氏 주에 “久則哀殺如平常也(시간이 오래되면 슬픔이 줄어들어 〈감정이〉 평상시와 같아진다.)”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앞서 ‘’은 마땅히 ‘’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 것은 잘못되었다.


역주
역주1 哭泣 : 소리를 내어 슬피 우는 것을 말한다.
역주2 衰(최)麻 : ‘衰衣麻絰’의 약칭으로, 喪服을 말한다. 衰衣는 斬衰와 齊衰(자최)의 구별이 있고, 麻絰은 喪服을 입는 기간 동안 머리 혹은 허리에 두르는 麻布로 된 띠이다.
역주3 親疏月數之等 : 산 사람과 죽은 이의 親疏 관계가 다른 것으로 인해 喪服을 입는 기간도 3년, 1년, 9개월, 5개월, 3개월의 차등이 있는데, 이것을 말한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