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151 而百姓皆愛其上하여 人歸之如流水하고 親之歡如父母하며
爲之出死斷亡而愉者 無它故焉이라 忠信調和均辨之至也
平均이요 明察也
○郝懿行曰 辨 與徧同하니 古字通用이라 荀書辨多同辯하니 宜訓治 楊氏不明假借之義하여 每以辨別爲訓하여 往往失之
此辨 又爲徧之假借 當訓周徧이어늘 而云明察하니 其失甚矣 王霸篇治辨之辨 又與辦同이라
王念孫曰 辨 讀爲平이라 平辨 古字通하니 若堯典平章之爲辨章하고 平秩之爲辨秩是也注+說見段氏古文尙書撰異
忠與信 調與和 均與辨 皆同義어늘 楊以辨爲明察하니 則與均異義矣
先謙案 王說是


그리하여 백성들은 모두 그 윗사람을 사랑하여 흐르는 물이 바다로 돌아가듯 그를 심복하고 그를 친애하여 자기 부모를 대하듯이 기뻐하였으며,
그를 위하여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면서도 달가워하는 것은 다른 까닭이 아니라, 군주의 성실하고 조화롭고 공정한 행위가 지극하였기 때문이다.
양경주楊倞注은 평균의 뜻이며, 은 분명히 살핀다는 뜻이다.
학의행郝懿行은 ‘’과 같으니, 옛 글자에 통용하였다. ≪순자荀子≫에 보이는 은 대부분 ‘’과 같은데, 은 마땅히 ‘다스리다’는 뜻으로 보아야 한다. 양씨楊氏가차假借한 뜻이라는 것을 몰라 매번 ‘변별’로 그 뜻을 풀이하여 계속 실수를 범하였다.
여기의 은 또 ‘’의 가차자假借字이니, 마땅히 ‘두루’라는 뜻이 되어야 하는데도 ‘분명히 살핀다는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잘못이 심하다. 〈왕패편王霸篇〉에 ‘치변治辨’이라고 한 ‘’은 또 ‘’과 같다.
왕염손王念孫은 ‘’으로 읽어야 한다. 은 옛 글자에 통용하였으니, ≪서경書經≫ 〈요전堯典〉에서 ‘평장平章’은 ‘변장辨章’이 되고 ‘평질平秩’이 ‘변질辨秩’이 되는 것과 같은 경우가 그렇다.注+이에 관한 설명은 단옥재段玉裁의 ≪고문상서찬이古文尙書撰異≫에 보인다.
, 調, 은 모두 같은 뜻인데도, 양씨楊氏을 ‘분명히 살핀다는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과 그 뜻을 다르게 보았다.
선겸안先謙案왕씨王氏의 설이 옳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