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87 然而應薄扞患하여 足以持社稷이라
○兪樾曰 薄之言 迫也 僖二十三年左傳 薄而觀之 文十二年傳 杜注竝曰 薄 迫也라하니
然則應薄 猶應迫也 言有偪迫者 足以應之也 臣道篇曰 應卒遇變이라하니 卒與薄 義相近이라


그리하여 핍박에 대응하고 환난을 막아 충분히 사직社稷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유월兪樾이라는 말은 ‘(핍박하다)’의 뜻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僖公 23년 “박이관지薄而觀之(바싹 다가가서 그를 살펴보았다.)”와 역시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문공文公 12년 “박지하薄之河(그들을 바싹 몰아 황하 가에 이른다.)”의 두예杜預 주에 모두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응박應薄은 ‘응박應迫’과 같다. 핍박하는 자가 있으면 충분히 그에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신도편臣道篇〉에 “응졸우변應卒遇變(갑자기 만난 변고에 대응한다.)”이라 하였는데, ‘’과 ‘’은 그 뜻이 서로 비슷하다.


역주
역주1 : ≪春秋左氏傳≫에는 ‘諸’로 되어 있다. ‘諸’도 ‘之’ 또는 ‘之於’의 뜻이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