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榮辱篇 第四
4-1 憍泄者 人之殃也
與媟同하니 嫚也
或爲䄃이라
○ 謝本從盧校作橋泄이라
盧文弨曰 橋 元刻作憍
劉台拱曰 橋 當從元刻作憍
王念孫曰 呂錢本亦作憍하니 憍泄即驕泰之異文이라
荀子他篇或作汰하고 或作忕하며 或作泰하니 皆同이라
古字世大通用하니 大室亦爲世室하고 大子亦爲世子하고 子大叔亦爲世叔이라
漏泄之泄 古多與外大害敗等字爲韻하니 聲與泰亦相近也
라하니 亦以泄爲汏
先謙案 劉王說是
今改從呂錢本元刻하니라


제4편 영예榮譽치욕恥辱에 관한 글
이 편에서는, 사상과 행위에 관해 어떤 것은 영예스럽고 어떤 것은 치욕스럽다는 것을 자세히 설명하고, 영예를 형성하는 원인과 그것들이 조성한 서로 다른 결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인간의 영예와 귀천은 태어날 때 구별된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교육과 각 방면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임금과 임금을 예로 들어 그들이 제왕의 자격을 갖추게 된 것은 후천적으로 오랜 동안 자기의 품덕과 행위를 수양했기 때문이라 하였다.
교만하고 버릇없이 구는 것은 사람에게 재앙이 되고,
양경주楊倞注 : ‘’은 ‘(친압하다)’자와 같으니, 버릇없다는 뜻이다.
’은 혹 ‘䄃’으로도 쓴다.
사본謝本노교본盧校本을 따라 ‘교설橋泄’로 되어 있다.
노문초盧文弨 : ‘’는 원각본元刻本에 ‘’로 되어 있다.
유태공劉台拱 : ‘’는 마땅히 원각본元刻本을 따라 ‘’가 되어야 한다.
왕염손王念孫 : 전본錢本에도 ‘’로 되어 있으니, ‘교설憍泄’은 곧 ‘교태驕泰’의 다른 글이다.
순자荀子》의 다른 편에 혹은 ‘’로, 혹은 ‘’로, 혹은 ‘’로 되어 있기도 하니, 모두 같다.
옛 글자에 ‘’와 ‘’는 통용하니, ‘태실大室’을 ‘세실世室’이라고도 하고, ‘태자大子’을 ‘세자世子’라고도 하고, ‘자대숙子大叔’을 ‘세숙世叔’이라고도 한다.
누설漏泄’의 ‘’은 옛날에 흔히 ‘’‧‘’‧‘’‧‘’ 등의 글자와 통운通韻하였으니, 소리가 ‘’와 또한 서로 가깝기 때문이다.
가자신서賈子新書》에 “간설불가이득사簡泄不可以得士(소략하고 버릇없는 행위로는 선비를 얻을 수 없다.)”라고 하였는데, 판본에 따라서는 ‘’이 ‘’로 되어 있기도 한다.
선겸안先謙案 : 유씨劉氏왕씨王氏의 설이 옳다.
여기서는 고쳐 전본錢本원각본元刻本을 따랐다.


역주
역주1 賈子曰 簡泄不可以得士 : 《賈子》는 《賈子新書》의 약칭으로, 漢 文帝 때 太中大夫를 지낸 賈誼(B.C. 200~B.C. 168)의 저술이다. 모두 10권인데, 이 문구는 제9권 〈大政 下〉에 보인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