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6 詩曰 尸鳩在桑하니 其子七兮로다
淑人君子 其儀一兮로다
其儀一兮하니 心如結兮로다하니
故君子結於一也니라
曹風尸鳩之篇이라
尸鳩尸鳩
云 尸鳩 鴶鞠也
尸鳩之養七子 旦從上而下하고 暮從下而上하여 平均如一이라
善人君子 其執義亦當如尸鳩之一이니
執義一則用心堅固 故曰 心如結也라하니라
○ 盧文弨曰 注鴶鞠 元刻作秸鞫하고 毛傳作秸鞠이라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뻐꾹새 뽕나무에 둥지를 틀고, 그 새끼 일곱 마리 먹여 기르네.
착하고도 어지신 저기 저 군자, 행하는 예의범절 한결같다네.
행하는 예의범절 한결같으니, 그 마음 매듭진 듯 단단하여라.”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배우고 익힐 때 정신을〉 하나에 집중해야 한다.
양경주楊倞注 : 《》는 〈조풍曹風 시구편尸鳩篇〉이다.
모전毛傳》에 “시구尸鳩는 뻐꾹새이다.
뻐꾹새가 일곱 새끼를 기를 때 아침에는 위에서 밑으로 내려오고 저물녘에는 밑에서 위로 올라가 이런 행위를 변함없이 반복한다.
선한 사람과 군자가 바른 도리를 견지하는 것도 마땅히 뻐꾹새처럼 집중해야 한다.
도리를 견지하기를 집중해서 하게 되면 마음을 쓰는 것이 견고할 것이니, 이 때문에 ‘마음이 매듭진 것 같다.’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노문초盧文弨 : 양경楊倞 주의 ‘알국鴶鞠’은 원각본元刻本에는 ‘갈국秸鞫’으로 되어 있고 《모전毛傳》에는 ‘갈국秸鞠’으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 西漢 초기 魯國 사람인 毛亨이 편찬한 《毛詩詁訓傳》을 말한다. 《毛氏傳》, 《毛傳》, 《毛詩》 등으로 약칭하기도 한다. 일설에는 毛亨의 후학인 毛萇의 저술이라고도 하고 혹은 毛亨이 편찬한 것을 毛萇이 증보한 것이라고도 한다. 번역에서는 《毛傳》으로 표기하였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