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5)

순자집해(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9-146 罋廡虛而不實하며
罋三이니 醯醢屑이라 廡二 醴酒라하니 皆有冪이라
蓋喪禮陳鬼器人器하되 鬼器虛하고 人器實也 禮記 宋襄公葬其夫人 醯醢百罋이라 曾子曰 旣曰明器하고 而又實之라하니라
○盧文弨曰 此與下所引士喪禮 皆見旣夕篇中이라 鄭云 古文甒皆作廡라하니라


독과 술단지는 비우고 채우지 않으며
 罋(甕) 廡(甒) 罋(甕) 廡(甒)
楊倞注:≪儀禮≫ 〈旣夕禮〉에 “罋三 醯醢屑 廡二 醴酒(독은 세 개이니, 하나는 식초를 담고 하나는 육장을 담고 하나는 계피가루를 담는다. 술단지는 두 개이니, 하나는 단술을 담고 하나는 술을 담는다.)”라 하였으니, 모두 덮개가 있다.
대체로 상례에 鬼器(明器)와 人器(祭器)를 진열하되 鬼器는 비우고 人器는 채우는 법이다. ≪禮記≫ 〈檀弓〉에 “ 襄公이 그의 부인을 장사 지낼 때 〈부장품 가운데〉 식초와 육장을 담은 독이 백 개나 되었다. 曾子가 이에 대해 논평하기를 ‘이미 明器라 해놓고 또 그것을 채웠단 말인가.’라 했다.” 하였다.
盧文弨:이 문구와 밑에 인용한 ≪儀禮≫ 〈士喪禮〉의 내용은 모두 ≪儀禮≫ 〈旣夕禮〉편에 보인다. 鄭玄이 “옛 문헌에는 ‘’가 모두 ‘’로 되어 있다.”라 하였다.


역주
역주1 (士喪禮)[旣夕禮] : 저본에는 ‘士喪禮’로 되어 있으나, 인용된 것은 ≪儀禮≫ 〈旣夕禮〉의 내용이므로 ‘旣夕禮’로 바로잡았다.

순자집해(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