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6 故君子居必擇鄕하고 遊必就士하나니 所以防邪僻而近中正也
物類之起 必有所始하고 榮辱之來 必象其德이라
肉腐出蟲하고 魚枯生蠹하며 怠慢忘身하면 禍災乃作이라
凡物強則以爲柱而任勞하고 柔則見束而約急하니 皆其自取也
○ 王引之曰 楊說強自取柱之義甚迂
柱與束相對爲文하니 則柱非謂屋柱之柱也
當讀爲祝이라
哀十四年公羊傳 天祝予라하고 十三年穀梁傳 祝髮文身이라하니 何范注竝曰 祝 斷也라하니라
此言物強則自取斷折하니 所謂太剛則折也
大戴記作強自取折이라하니 是其明證矣
하니 是祝與柱通也注+祝之通作柱 猶注之通作祝이라 周官瘍醫祝藥 鄭注曰 祝 當爲注 聲之誤也라하니라


그러므로 군자가 머물러 살 때는 반드시 풍속風俗이 좋은 고장을 선택하고 밖에 나가 교유할 때는 반드시 어진 선비를 가까이해야 하니, 이것이 곧 자기가 바르지 못한 길로 잘못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올바른 도리를 향해 접근해가는 방법이다.
각종 일들이 발생하는 것은 반드시 그것이 일어나게 된 원인이 있고 영예榮譽 혹은 치욕恥辱이 찾아오는 것은 반드시 평소의 행동이 반영된 것이다.
살코기가 썩으면 구더기가 생기고 물고기가 말라죽으면 벌레가 생기며 태만하여 자신의 품위를 지키는 것을 잊어버리면 재앙이 곧 일어난다.
단단하고 강한 물건은 사람들이 그것을 지주로 삼는 것을 자초하고, 부드럽고 약한 물건은 사람들이 그것을 얽어매는 끈으로 삼는 것을 자초한다.
양경주楊倞注 : 일반적으로 물건이 강하면 기둥이 되어 힘겨운 일을 담당하고 부드러우면 구속을 당해 위축되기 마련이니, 이는 모두 그것이 스스로 초래한 것이다.
왕인지王引之 : 양경楊倞이, 강하면 스스로 기둥이 되는 것을 초래한다는 뜻이라고 말한 것은 매우 엉뚱한 소리이다.
’자와 ‘’자가 대를 형성하여 문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면 ‘’는 옥주屋柱(건물 기둥)의 자를 말한 것이 아니다.
’는 마땅히 ‘’자로 읽어야 한다.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애공哀公 14년에 “천축여天祝予(하늘이 나를 꺾어버리는구나.)”라고 하고,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애공哀公 13년에 “축발문신祝髮文身(머리를 깎고 문신을 했다.)”이라고 했는데, 하휴何休범녕范寧의 주에 모두 “자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물건이 강하면 스스로 부러지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뜻이니, 이른바 ‘너무 강하면 부러진다.[太剛則折]’는 말과 같다.
대대례기大戴禮記》 〈권학勸學〉에 “강하면 스스로 부러지는 결과를 초래한다.[強自取折]”라고 했으니, 이것이 그 분명한 증거이다.
산해경山海經》 〈남산경南山經〉에 “초요산招摇山에 풀이 있으니 그 이름은 축여祝餘라 한다.” 하였고 ‘축여祝餘’는 어떤 판본에는 ‘주도柱荼’로 되어 있기도 하니, 이 ‘’자는 ‘’자와 통한다.注+와 통용해 쓰는 것은 와 통용해 쓰는 경우와 같다. 《주례周禮》 〈주관周官 양의瘍醫〉의 ‘축약祝藥’에 대해 정현鄭玄에 “는 마땅히 자가 되어야 하니 음으로 인해 잘못된 것이다.” 하였다.


역주
역주1 強自取柱 柔自取束 : ‘柱’자와 ‘束’자에 대해 楊倞과 王引之를 위시하여 학자들의 견해가 분분하다. 于鬯(1862~1919)은 仆(넘어지다)자가 ‘朴’으로 잘못되고 이것이 또 ‘柱’로 잘못된 것이라고 했고, 劉師培(1884~1919)는 ‘柱’는 拄(버티다)자로 보는 것이 옳다 하면서 “강하면 곧게 서서 흔들리지 않아 외물과 서로 버틸 수 있다. ‘유약하면 스스로 묶여지는 것을 자초한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물건이 묶여지는 것은 반드시 굽혀지기 때문에 한 말로서 拄자의 뜻과 반대가 된다. 위에서 ‘명예나 치욕이 찾아오는 것은 그의 평소 행동의 결과가 반영된 것이다.’라고 한 말은 강인하면 영예를 이루어내고 유약하면 치욕을 자초한다는 뜻이다. 이 글에서의 强弱이란 곧 榮辱과 상응한다. 《大戴禮記》에 ‘折’자로 되어 있는 것도 ‘拄’자의 잘못이다.” 하였다. 鍾泰(1888~1979)는 “‘柱’는 곧 ‘拄’이다. 강하면 그것을 취해 물건을 지탱하게 할 수 있으니 대나무와 같은 것들이 그것이고, 부드러우면 그것으로 물건을 묶을 수 있으니 가죽끈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대나무와 가죽끈 입장에서 말하면 무엇을 지탱한다거나 묶거나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모두 스스로 취한 것이라 할 수 있다.”라고 하면서, 楊倞의 주는 설명이 분명하지 않을 뿐, 잘못되지는 않았고, 王引之가 ‘柱’는 ‘祝’과 통한다고 하면서 斷자로 풀이한 것은 옳지 않다고 하였다. 번역에서는 鍾泰의 설을 따랐다.
역주2 南山經招摇之山有草焉……祝餘或作柱荼 : 〈南山經〉은 《山海經》의 편명이다. 〈南山經〉에 “남방에서 제1열에 늘어선 산을 䧿山이라 한다. 이들 산 가운데 맨 처음 산을 招摇山이라 부르는데 이 산은 서해 변방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산 위에 계수나무가 많이 자란다.……일종의 풀이 있는데 그 모양은 부추나물과 비슷하고 푸른 꽃이 피며 이름은 祝餘라 한다.”라고 하고, 郭璞이 祝餘에 주를 붙이기를 “어떤 판본에는 桂荼로 되어 있다.[或作桂荼]”라고 하였다. 王引之가 이 부분을 축약하여 인용하고 郭璞의 주도 함께 인용한 것이다. 다만 ‘柱荼’의 ‘柱’자가 현존하는 《山海經》 판본과 기타 이 부분을 인용한 각 문헌에는 모두 ‘桂’자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王引之가 오류를 범한 것으로 보인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