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4)

순자집해(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7 本荒而用侈하면 則天不能使之富하고 養略而動하면 則天不能使之全하며
減少也 希也 養略 謂使人衣食不足也 動希 言怠惰也 衣食減少而又怠惰하면 則天不能全也
○兪樾曰 上云 養備而動時하면 則天不能病이라하니 備與略義正相對 時與罕則不倫矣
疑屰字之誤 卽今逆字 說文干部 不順也라하고 辵部 迎也라하니
是逆爲送逆字 其順逆字 本作屰也 養略而動屰 正與養備而動時 相對成義


근본이 황폐해지고 소비가 사치스러우면 하늘도 그를 부유하게 하지 못하고, 양생養生을 소홀히 하고 행동이 시의時宜를 거스르면 하늘도 그에게 건강을 보전하게 하지 못하며,
양경주楊倞注은 줄어든다는 뜻이다. 은 드물다는 뜻이다. 양략養略은 백성으로 하여금 의식이 충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이른다. 동희動希는 게으른 것을 말한다. 의식이 줄어들고 또 게으르다면 하늘이 그 건강을 보전하게 하지 못한다.
유월兪樾:위(17-4)에서 “양비이동시養備而動時 즉천불능병則天不能病(양생養生의 방법이 완비되고 행동을 시의時宜에 맞게 한다면 하늘도 그를 병들게 하지 못한다.)”이라 하였으니, ‘’와 ‘’은 뜻이 정확히 대가 되지만 ‘’와 ‘’은 어울리지 않는다.
’은 아마도 ‘’자의 잘못일 것이니, ‘’은 곧 지금의 ‘’자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의 〈간부干部〉에 “은 순하지 않다는 뜻이다.”라 하고, 〈착부辵部〉에 “은 맞이한다는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로 볼 때 ‘’은 ‘송역送逆(보내고 맞이하다)’의 〈자가〉 되고, 그 ‘순역順逆(순응하고 거스르다)’의 〈자는〉 본디 ‘’으로 되었을 것이다. 양략이동역養略而動屰은 정확히 ‘양비이동시養備而動時’와 대구가 되어 뜻을 이룬다.


역주
역주1 (罕)[屰] : 저본에는 ‘罕’으로 되어 있으나, 愈樾의 주에 의거하여 ‘屰(역)’으로 바로잡았다.

순자집해(4) 책은 2022.08.3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