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6)

순자집해(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27 今人之性 飢而欲飽하고 寒而欲煖하고 勞而欲休하니 此人之情性也 今人飢라도而不敢先食者 將有所讓也
○俞樾曰 注不釋長字 蓋以爲尊長也
然下文云 勞而不敢求息者 將有所代也라하여 無爲尊長任勞之文하니 則此句長字 亦非謂尊長也
讀爲粻이라 爾雅釋言 糧也라하고 詩崧高篇 以峙其粻이라하여늘 鄭箋曰 粻 糧也라하니라
見粻而不敢先食 與下文勞而不敢求息 意正相配 若作見長이면 則轉與下意不倫矣리라


대체로 사람의 본성은 배고프면 배불리 먹으려 하고 추우면 따뜻하게 입으려 하고 수고로우면 쉬려고 하니, 이것이 사람의 성정性情이다. 그런데 대체로 사람이 배고프더라도 웃어른을 보면 감히 먼저 먹지 않는 것은 사양하려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고
유월俞樾:〈양씨楊氏의〉 주에 ‘’자를 풀이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을〉 존장尊長(웃어른)으로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아랫글에 “노이불감구식자勞而不敢求息者 장유소대야將有所代也(수고로우면서도 감히 쉬려고 하지 않는 것은 대신하려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라 하여 존장尊長을 위해 수고를 대신 맡는다는 문구가 없으니, 이 문구의 ‘’자 또한 존장尊長을 말한 것이 아니다.
은 ‘(양식)’으로 읽어야 한다. ≪이아爾雅≫ 〈석언釋言〉에 “은 양식이다.”라 하였고, ≪시경詩經≫ 〈대아大雅 숭고편崧高篇〉에 “이치기장以峙其粻(〈가는 길에 쓸〉 양식 비축했기에)”이라 하였는데, 정현鄭玄에 “은 양식이다.”라고 하였다.
견장이불감선식見粻而不敢先食’은 아랫글 ‘노이불감구식勞而不敢求息’과 뜻이 정확히 서로 어울린다. 만약 ‘견장見長(웃어른을 보다)’으로 쓴다면 도리어 아래 뜻과 맞지 않을 것이다.


역주
역주1 : 俞樾의 주에는 ‘粻’자로 읽어야 한다고 하였으나, 鍾泰는 ‘尊長’의 ‘長’으로 풀이하는 것이 옳다고 하면서 아래 문구에 ‘長’을 말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 것이라고 하였다. 王天海도 “여기에서 ‘有所讓(사양하려는 마음이 있어서이다.)’을 말하고 아래 문구에서 자제가 부형에게 사양한다고 말했는데, 부형은 곧 웃어른이다.”라고 하면서 鍾泰의 설에 동의하였다.

순자집해(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