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186 鑽龜하며
鑽龜 謂以火爇荊菙灼之也 陳卦 謂揲蓍布卦也
9-187 主五卜하여
攘擇 攘除不祥하고 擇取吉事也 五卜 洪範所謂이니 言兆之形也


거북등껍질에 구멍을 뚫고 〈시초蓍草를 헤아려〉 를 배열하며,
양경주楊倞注찬귀鑽龜는 〈거북등껍질에 구멍을 뚫어 거기에〉 불로 나뭇가지를 태워 굽는 것을 이른다. 진괘陳卦시초蓍草를 헤아리고 괘상卦象을 배열하는 것을 이른다.
재앙을 몰아내기 위해 지내는 제사와 거북점을 칠 때 나타난 다섯 가지 모양을 분석하는 일을 주관하여
양경주楊倞注양택攘擇은 상서롭지 못한 기운을 몰아내고 경사스러운 일을 가려 취한다는 뜻이다. 오복五卜은 ≪서경書經≫ 〈홍범洪範〉의 이른바, 라는 것과 라는 것과 이라는 것과 이라는 것과 이라는 것이니, 거북점의 길흉이 드러난 형태를 말한다.


역주
역주1 陳卦 : 蓍草(톱풀)를 이용하여 점괘를 뽑아 점을 치는 것을 말한다. 49개의 蓍草 줄기를 적당히 반으로 나눈 뒤에 넷씩 세어가 마지막에 남는 개수를 모아 六爻를 만든다. 初爻에서 上爻에 이르기까지 각 爻마다 3變의 절차를 거치므로 18變을 거듭해야 六爻가 완성된다. 자세한 방법은 ≪周易≫ 〈筮儀〉에 나와 있다.
역주2 攘擇 : 禳釋과 통용한다. 禳釋은 재앙을 없애고 화를 면하게 해달라고 신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역주3 曰雨曰霽曰蒙曰驛曰剋 : ≪書經≫ 〈周書 洪範〉의 내용이다. 거북점을 칠 때 거북등껍질을 불에 구워 그 열로 인해 갈라진 선의 모양과 특징에 따라 다섯 가지로 길흉을 구분한 것이다. 雨는 빗방울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水에 해당하고, 霽는 비가 그치고 하늘이 개었을 때 구름과 안개가 걷힌 모양으로 火에 해당하고, 蒙은 하늘이 흐릴 때 구름과 안개가 짙게 끼어 있는 모양으로 木에 해당하고, 驛은 구름의 기운이 이어져 있지 않은 모양으로 金에 해당하고, 剋은 서로 엇갈리는 모양으로 土에 해당한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