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6)

순자집해(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6-5 簡然易知而致有理者與 君子所敬而小人所不者與 性不得則若禽獸하고 性得之則甚者與
正也 謂似續古人이라 詩曰 라하니라


이것은 간단하여 알기가 쉽고 또 매우 조리 있는 그것 아닌가? 이것은 군자君子는 다 존중하지만 소인小人은 부정하는 그것 아닌가? 본성이 이걸 얻지 못한다면 짐승이나 다름없고 본성이 이걸 얻으면 제대로 바로잡혀 다스려지는 그것 아닌가?
양경주楊倞注는 올바르다는 뜻이다. 는 옛사람을 계승하는 것을 이른다. ≪시경詩經≫에 “유기유지維其有之 시이사지是以似之(군자君子재덕才德 모두 지니었기에 이로 인해 자손이 녹을 이었네.)”라 하였다.


역주
역주1 雅似 : 于省吾는 “似는 마땅히 治로 간주해 읽어야 한다. 雅治는 위에 말한 禽獸와 서로 虛와 實이 되어 적절하게 상반된 뜻이 된다.”라 하고, 熊公哲은 “性은 반드시 禮를 얻은 뒤에 다스려진다.”라 하고, 王天海는 “似와 治는 韻部가 같은 것으로 하나의 聲韻이 변한 것이다. 그러므로 통용할 수 있다. 雅似는 곧 雅治이다. 본성이 禮을 얻으면 바로잡혀 잘 다스려진다는 말이다. 이 또한 荀子 性惡說의 뜻이다.”라고 하면서 于省吾의 설에 동의하였다.
역주2 維其有之 是以似之 : ≪詩經≫ 〈小雅 裳裳者華〉를 인용한 것이다. 朱熹는 ‘似’를 같다는 뜻으로 보고 풀이하기를 “그 내면에 재주와 덕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 그 간직하고 있는 것과 같지 않음이 없다.”라고 하였다. 이를 따른다면 ‘是以似之’를 “겉으로 드러난 게 속과 같다네.”로 번역할 수 있다. 그러나 〈毛傳〉에 “似는 ‘嗣’의 뜻이다.”라 하고, 鄭玄의 箋에 “나의 先人이 이 두 가지 덕을 지녔기 때문에 先王이 대대로 녹을 받도록 하여 자손이 그 뒤를 이었다.”라고 하였다. 楊倞은 〈毛傳〉대로 이해하였으므로 그에 따라 번역하였다.

순자집해(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