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爲察察之辯이나 而操持僻淫之事 七刀反이라
○王念孫曰 察辯二字平列注+辯字義見上이라이니 言能察能辯이나 而所操皆僻淫之術也
勸學篇曰 不隆禮 雖察辯이나 散儒也라하고 不苟篇曰 君子辯而不爭하고 察而不激이라하여 荀子書皆以察辯對文하니 不可枚擧


시비를 잘 살피고 말을 지혜롭게 하더라도 지론이 괴벽하고
양경주楊倞注:치밀하게 말을 잘하더라도 괴벽하고 음란한 일을 견지한다는 뜻이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왕염손王念孫:‘찰변察辯’ 두 자는 나란히 배열한 것이니,注+’자의 뜻은 위에 보인다. 잘 살피고 말을 잘하지만 지론은 모두 괴벽하고 음란한 술수라는 것을 말한다.
권학편勸學篇〉에 “불륭례 수찰변 산유야不隆禮 雖察辯 散儒也(예법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비록 시비를 잘 살피고 논변을 잘하더라도 쓸모없는 유자儒者일 뿐이다.)”라 하고, 〈불구편不苟篇〉에 “군자변이부쟁 찰이불격君子辯而不爭 察而不激(군자는 언변이 좋더라도 고집을 부리지 않고 시비를 살피더라도 각박하게 하지 않는다.)”이라고 하는 등 ≪순자荀子≫의 글 여러 곳에서 ‘’과 ‘’을 대구로 썼으니, 그 사례를 일일이 다 제시할 수 없다.


역주
역주1 察辯而操僻 : 楊倞과 王念孫은 ‘操僻’ 뒤에 다음 구의 ‘淫’자를 붙여 구두를 끊어 풀이하였으나, 여기서는 兪樾의 설에 따라 그렇게 하지 않았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