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 木直中繩이라도 以爲輪하면 其曲中規
이라도 不復挺者 輮使之然也니라
이라
이라
直也
晏子春秋作不復贏矣
○ 盧文弨曰 曓 舊本作暴하니
說文 一作曓 晞也라하고 一作曓 疾有所趣也라하니라
顔氏家訓分之亦極明이라
今此字注雖訓乾이나 然因乾而曓起 則下當从本이라
案考工記輪人槁作藃하고 鄭注云 藃 藃曓이니 陰柔後必橈減하여 幬革曓起라하니라
釋文步角反이라하고 이라하니라
又注贏 舊本訛作羸
案贏 緩也
今據晏子雜上篇改正하여 亦作嬴이라


목재가 곧아서 먹줄의 직선에 들어맞더라도 열을 가해 둥근 수레바퀴를 만들면 그 휘어진 곡선이 그림쇠로 그은 모양과 일치한다.
그림쇠(規)그림쇠(規)
먹줄(繩)먹줄(繩)
그런 뒤에는 비록 또 열을 가하고 햇볕을 쪼이더라도 다시는 펴져서 곧아지지 않으니, 이는 처음에 열을 가해 휘어서 이미 그 모양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양경주楊倞注 : 는 ‘(구부러지다)’자의 뜻이다.
는 ‘(마르다)’자의 뜻이다.
은 ‘(마르다)’자의 뜻이다.
은 ‘(곧다)’자의 뜻이다.
안자춘추晏子春秋》에는 ‘불복정자不復挺者’가 ‘불복영의不復贏矣(다시는 헐거워지지 않는다.)’로 되어 있다.
노문초盧文弨 : 구본舊本에 ‘’으로 되어 있으니 이는 틀린 것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한 군데는 ‘은 말린다는 뜻이다.’라고 되어 있고, 다른 한 군데는 ‘은 혼란이 오는 것이 매우 빠르다는 뜻이다.’라고 되어 있다.
안씨가훈顔氏家訓》 〈서증書證〉에서는 이에 관해 가려내기를 매우 분명히 하였다.
여기서는 이 글자를 〈양경楊倞의〉 에서는 비록 ‘’자의 뜻으로 풀이했지만, 〈둥근 수레바퀴통이〉 마름으로 인해 뒤틀리고 각이 져서 들고 일어나는 뜻이라면 자 아랫부분의 모양이 마땅히 ‘’을 붙인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살펴보건대,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 윤인輪人〉에 ‘’가 ‘’로 되어 있고, 정현鄭玄의 주에 “는 열을 가하고 햇볕을 쪼인다는 뜻이니 〈을 장착한 나무로 만든 수레바퀴통의〉 안쪽 부위가 〈열을 가하지 않음으로 인해 단단하지 않고〉 무르면 나중에 반드시 느슨해져서 흔들리고 수축되어 그 부분을 덮어 싼 가죽이 뒤틀리고 각이 져서 들고 일어나게 된다.” 하였다.
자의 음에 대해〉 《경전석문經典釋文》에는 “반절反切이다.”라고 했고, 유씨劉氏는 “반절反切인데 또 다른 음은 반절反切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양경楊倞 의 ‘’자가 구본舊本에는 ‘’로 잘못되어 있다.
살펴보건대, ‘’는 헐겁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안자춘추晏子春秋》 〈잡상편雜上篇〉을 근거로 개정하여 이 또한 ‘’으로 하였다.


역주
역주1 : ‘煣’와 통하는 글자로, 약한 불로 목재를 구워 구부러지게 만든다는 뜻이다.
역주2 有槁曓(폭) : 有는 ‘又’, 槁는 ‘熇’와 통하고, 曓은 ‘曝’의 옛 글자이다.
역주3 劉步莫反 一音蒲報反 : 劉는 晉 劉昌宗으로, 《周禮音》 1권을 편찬하였다. 反은 反切의 약칭으로, 漢字 두 자에서 첫 자의 초성과 다음 자의 중성‧종성을 따서 한 음을 만들어 읽는 법이다. 步莫反은 ‘박’이고, 蒲報反은 ‘포’이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