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2)

순자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106 儉然하고 恀然하고 輔然하고 端然하고 訾然하고 洞然하며 綴綴然하고 瞀瞀然 是子弟之容也
儉然 自卑謙之貌 恀然 恃尊長之貌 爾雅曰 恀 恃也라하고 郭云 江東呼母爲恀라하니라
音紙 輔然 相親附之貌 端然 不傾倚之貌 訾然 未詳이라 或曰 與孳同하니 柔弱之貌라하니라
洞然 恭敬之貌 禮記曰 洞洞乎其敬也라하니라 綴綴然 不乖離之貌 謂相連綴也 瞀瞀然 不敢正視之貌
○兪樾曰 漢書敍傳姼姼公主 師古曰 姼姼 好貌라하니 恀卽姼之叚字
嚴威儼恪 成人之道 非所以事親이라 故子弟之容必姼姼然好也 楊注失之迂曲이라


겸손하고 온순하고 친근하고 단정하고 부드럽고 공경하며, 뒤쫓아 따르고 감히 똑바로 보지 못하는 것은, 곧 자제子弟의 모습이다.
양경주楊倞注검연儉然은 스스로 낮추고 겸손해하는 모양이다. 지연恀然은 웃어른을 믿는 모양이다. ≪이아爾雅≫에 “는 믿는다는 뜻이다.”라 하고, 곽박郭璞의 주에 “강동 지방에서는 어머니를 부를 때 ‘’라 한다.”라고 하였다.
음은 이다. 보연輔然은 서로 친하고 붙는 모양이다. 단연端然은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의지하지 않는 모양이다. 자연訾然은 알 수 없다. 혹자는 “‘(새끼치다)’와 같으니, 여리고 약한 모양이다.”라고 하였다.
통연洞然은 공경하는 모양이다. ≪예기禮記≫ 〈예기禮器〉에 “동동호기경야洞洞乎其敬也(조심조심 매우 경건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철철연綴綴然은 배반하지 않는 모양이니,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이른다. 무무연瞀瞀然은 감히 눈을 들어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는 모양이다.
유월兪樾:≪한서漢書≫ 〈서전敍傳〉의 “제제공주姼姼公主(아름다운 공주)”에서 안사고顔師古가 “제제姼姼는 고운 모양이다.”라고 하였으니, 는 곧 ‘’의 가차자假借字이다.
엄숙하여 위엄이 있는 것은 어른의 도리이니, 이와 같은 태도로 어버이를 섬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제의 모습은 반드시 온순하여 고와야 한다. 양씨楊氏의 주는 왜곡되어 틀렸다.



순자집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