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8 三寸이며 鼻目耳具 而名動天下하니라
面長三尺 廣三寸 言其狹而長甚也
鼻目耳雖皆具而相去疏遠하니 所以爲異
名動天下 言天下皆知其賢이라
或曰 狹長如此 不近人情하니 恐文句誤脫也라하니라
○ 盧文弨曰 案焉字 古多以爲發聲하니 如周禮焉使則介之 是也
荀書或用焉하고 或用案하고 或用安하여 字異語同하니 皆以爲發聲이라


너비가 세 치였으며, 코‧눈‧귀는 엉성했으나 명성이 천하를 진동하였다.
양경주楊倞注 : 얼굴의 길이가 석 자에 너비가 세 치라고 한 것은 얼굴이 좁으면서 매우 긴 것을 말한다.
코‧눈‧귀는 비록 모두 갖추었으나 서로간의 간격이 한참 떨어져 있으니, 이로 인해 기이한 것이다.
명성이 천하를 진동했다는 것은 온 천하가 모두 그가 훌륭함을 알았다는 것을 말한다.
어떤 사람은 “얼굴이 좁고 긴 모양이 이 정도라면 사람의 상정常情에 가깝지 않으니, 혹시 문구에 오탈자가 있지 않은가 한다.”라고 하였다.
노문초盧文弨 : 살펴보건대, ‘’자는 옛날에 대부분 발어성發語聲으로 사용하였으니, 이를테면 《주례周禮》 〈추관秋官 행부行夫〉의 “언사즉개지焉使則介之(이에 행인行人정사正使가 되면 행부行夫부사副使를 맡는다.)”와, 《회남자淮南子》의 “천자언시승주天子焉始乘舟(천자가 이에 비로소 배를 탄다.)”의 경우가 그것이다.
순자荀子》에는 ‘’을 쓰기도 하고 ‘’을 쓰기도 하고, ‘’을 쓰기도 하여, 글자는 다르지만 말은 같으니, 모두 발어성發語聲으로 사용하였다.


역주
역주1 焉廣 : ‘焉’자에 대해 盧文弨는 發語聲이라고 주장한 반면에, 王紹蘭‧帆足萬里‧高亨‧張覺‧王天海 등은 ‘頞(콧마루)’자로 보아야 한다 하고, 于鬯은 ‘喙(부리)’자로, 朝川鼎은 ‘眉(눈썹)’자로, 劉師培는 ‘咽(목구멍)’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古今事文類聚》에는 ‘額(이마)’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論衡》과 《古今譚概》에는 이 글자가 아예 없고, 《獨異志》에는 ‘焉廣’이 ‘闊’ 한 자로 되어 있으며, 《三岡識略》에는 ‘廣僅’으로 되어 있어 그 뜻이 楊倞의 주와 비슷하다. 번역은 楊倞의 주를 따랐다.
역주2 淮南子 天子焉始乘舟 : 《淮南子》 〈時則訓〉에는 ‘焉’이 ‘鳥’로 되어 있다. 《呂氏春秋》 〈季春紀〉에 ‘焉’으로 되어 있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