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64 行義動靜 度之以禮하고 知慮取舍 稽之以成하며 日月積久 校之以功이라
故卑不得以臨尊하고하며 愚不得以謀知 是以萬擧而不過也
故校之以禮하여 而觀其能安敬也하고 與之擧措遷移하여 而觀其能應變也하며 與之安燕하여 而觀其能無流慆也하고
○盧文弨曰 流慆 疑卽流淫이라 元刻作陷하고 無流字


품행과 도의道義, 행동거지에 대해서는 예의禮義로써 헤아리고 지혜와 사려 및 찬성과 반대를 취한 일에 대해서는 성패로써 심사하며, 직무를 오랫동안 수행한 뒤에는 공적을 가지고 평가하였다.
그러므로 지위가 낮은 자가 존귀한 자의 위에 있을 수 없고, 권력이 가벼운 자가 권력이 큰 자를 평가할 수 없으며, 어리석은 자가 지혜로운 자를 시비是非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모든 일이 제대로 행해져 잘못을 범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예의禮義로써 그를 심사하여 안정되고 공경하는 태도를 지녔는지 살펴보고 그에게 위아래로 오가고 이리저리 옮겨가는 기회를 제공하여 각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며, 안일하고 한적한 자리에 배치하여 그가 과연 방종하지 않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노문초盧文弨유도流慆는 아마도 곧 ‘유음流淫’일 것이다. 원각본元刻本에는 〈자가〉 ‘’으로 되어 있고 ‘’자는 없다.


역주
역주1 輕不得以縣重 : 권력의 强弱을 무게의 輕重에 견주어 권력이 가벼운 자가 권력이 큰 자를 감히 가늠하거나 평가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縣은 ‘懸’과 통용한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