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55 端而言蝡而動이라도 一可以爲法則이니라
讀爲喘이라
微言也 微動也
皆也
或喘息微言 或蝡蠢蝡動 皆可以爲法則이라
人允反이라
或曰 端而言 謂端莊而言也라하니라
○ 先謙案 臣道篇云 喘而言 臑而動이라도 而一皆可爲法則이라하여 與此文同하니 則讀端爲喘是也
說文 疾息也 動也


그러므로 그의 간단히 하는 말과 작은 움직임이라도 모두 다른 사람이 본받을 기준이 될 수 있다.
양경주楊倞注 : ‘’은 ‘(헐떡거리다)’자로 읽어야 한다.
’은 간단하게 내뱉는 말이고, ‘’은 조금 꿈틀거리는 움직임이다.
’은 ‘’자의 뜻이다.
숨 가쁘게 내뱉는 간단한 말이나 혹은 벌레가 꿈틀거리듯 작은 행동이라도 모두 남들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어떤 사람은 “‘단이언端而言’은 단정하고 엄숙하게 말하는 것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선겸안先謙案 : 〈신도편臣道篇〉에 “간단히 하는 말과 작은 움직임이라도 모두 다른 사람이 본받을 기준이 될 수 있다.”라고 하여 이 문구와 같으니, ‘’을 ‘’으로 읽는 것이 옳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은 숨을 가쁘게 몰아쉰다는 뜻이다.” 하고, “‘’은 꿈틀거린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