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1)

순자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111 文而致實하고 博而黨正 是士君子之辯者也
謂辯說之詞也
至也
與讜同이니 謂直言也
凡辯則失於虛詐하고 博則失於流蕩이라
故致實黨正爲重也
○ 郝懿行曰 致이니 竝古今字
讜言即昌言이니 謂善言也
此明士君子之辯 文而緻密堅實하고 博而昌明雅正하니 斯辯之善者也
王念孫曰 致 讀爲質이라注+襄三十年左傳 用兩珪質于河라하니 釋文 如字 又音致라하고 昭十六年 與蠻子之無質也라하니 釋文 之實反이라 或音致라하니라 淮南要略 約重致하고 剖信符라하니 重致即重質이라 質致古同聲이라 故字亦相通하니 說見唐韻正이라
信也注+見昭十六年二十年左傳注 魯語晉語注 謂信實也
致實與黨正對文이라注+楊注 與讜同이니 謂直言也라하니라
楊注失之


조리가 있으면서도 진실하고 범위가 넓으면서도 올바른 것이 곧 사군자 방식의 논변이다.
양경주楊倞注 : ‘’은 달변을 구사하는 어휘를 이른다.
’는 ‘(지극하다)’의 뜻이다.
’은 ‘’과 같으니, 곧은 말을 이른다.
일반적으로 말이 유려하면 거짓말하는 잘못이 생기고, 범위가 넓으면 줏대 없이 지껄이는 잘못이 생긴다.
그러므로 진실되고 곧은 것이 중요하다.
학의행郝懿行 : ‘’는 ‘(촘촘하다)’자이고, ‘’은 ‘’자이니 모두 고금의 시대에 따라 달리 쓰는 글자이다.
당언讜言’은 곧 ‘창언昌言’이니 훌륭한 말을 이른다.
여기서는 사군자 방식의 논변은 조리가 있으면서도 치밀하고 견실하며, 범위가 넓으면서도 뜻이 분명하고 모범적이라는 것을 밝힌 것이니, 이는 논변을 잘한 경우이다.
왕염손王念孫 : ‘’는 ‘’로 간주해 읽는다.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양공襄公 30년에 “용양규질우하用兩珪質于河(두 개의 옥규玉珪를 황하의 물속에 가라앉혀 성의를 표시하였다.)”라고 하였는데, 《석문釋文》에 “‘’은 여자如字이니, 〈본음인 입성入聲으로 읽는다.〉 또 다른 음은 이다.”라고 하고, 소공昭公 16년에 “여만자지무질야與蠻子之無質也(蠻子가 신의가 없다.)”라고 하였는데, 《석문釋文》에 “‘’의 음은 반절反切이다. 간혹 음을 라 하기도 한다.”라고 하였다. 《회남자淮南子》 〈요략要略〉에 “약중치約重致 부신부剖信符(신의를 중시할 것을 맹약하고 부절을 나눠 가졌다.)”라고 하였는데, ‘중치重致’는 곧 ‘중질重質’이다. ‘’과 ‘’는 옛날에 음이 같았으므로 글자도 서로 통용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은 《당운정唐韻正》에 보인다.
’은 ‘’과 같으니,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소공昭公 16년과 20년 와, 《국어國語》 〈노어魯語〉와 〈진어晉語에 보인다. 신의가 있고 진실한 것을 이른다.
치실致實’과 ‘당정黨正’은 대구이다.注+양씨楊氏의 주에 “‘’은 ‘’과 같으니, 곧은 말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양씨楊氏의 주는 잘못되었다.



순자집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