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荀子集解(3)

순자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순자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177 尺寸尋丈 莫得不循乎制度數量然後行이니
○盧文弨曰 各本作制數度量이나 今從宋本이라
王念孫曰 作制數度量者 是也 富國篇曰 無制數度量則國貧이라하니 是其證이라 宋本數度二字互誤耳
禮記王制度量數制 鄭注曰 度 丈尺也 斗斛也 百十也布帛幅廣狹也라하니 數制卽制數


길이를 재는 등의 표준도 〈의복 및 건물의〉 제도와 〈하급관리 및 기물의〉 숫자가 〈합당한 표준이 있도록 하는 그와 같은 과정을〉 준수한 다음에 실행하지 않는 일이 없어야 하니,
노문초盧文弨:각 판본에는 ‘제수도량制數度量’으로 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송본宋本을 따랐다.
왕염손王念孫:‘제수도량制數度量’으로 된 것이 옳다. 〈부국편富國篇〉에 “무제수도량즉국빈無制數度量則國貧(이 없으면 나라가 가난하다.)”이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증거이다. 송본宋本에는 ‘수도數度’ 두 자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잘못되었다.
예기禮記≫ 〈왕제王制〉 ‘도량수제度量數制’의 정씨 주鄭氏 注에 “, 이다. , 이다. , 이다. 는 포백 폭의 너비이다.”라고 하였으니, ‘수제數制’는 곧 ‘제수制數’이다.



순자집해(3) 책은 2021.01.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